�해부터 산불 대응에 첨단 CCTV가 동원돼 연기나 불꽃에 반응해 산불 여부를 판단하고 알려주는 역할을 맡는다. 또 산불 현장에 무인항공기가 투입돼 산불의 진행방향 판단 등에 활용된다.
안전행정부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은 기존에 인력에만 의존하던 산불 탐지·확산, 경로 예측 등에 과학기술을 활용해 산불 사각지대를 없애나갈 예정이라고 11일 밝혔다.
안행부와 연구원은 지능형 CCTV 산불 자동감지 기술을 올해부터 국립공원을 중심으로 단계적으로 전국에 확산해 갈 계획이다.
특히 지능형 알고리즘을 중·고해상도 CCTV 뿐만 아니라 저해상도의 CCTV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기술을 추가 개발 중이다. 이러한 기술이 개발되면 저예산으로 높은 활용도를 가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원은 아울러 첨단과학 장비 운용을 통한 재난원인 과학조사를 위해 산불?유해화학물질 노출 등 접근이 어려운 재난 발생 지역에 자율비행로봇(UAV)을 활용하기 위한 연구를 추진 중이다.
연구원 또 지능형CCTV와 자율비행로봇을 활용한 재난 상황관리를 위해 올해부터 향후 5년 동안 약 70억의 예산을 들여 관련 알고리즘 개발 및 고도화, 지자체 보급 및 확산에 나설 계획이다.
정부는 특히 올해 기온상승 및 건조일수 증가로 대형 산불 위험시기가 일찍 찾아올 것으로 보고 3월 10일부터 4월 20일까지를 '대형 산불 방지 특별대책기간'으로 정하고,이 기간 동안 각 기관별 산불방지 대책을 운영한다.
이경옥 안행부 제2차관은 "이번에 유관기관 간 산불예방 대책 및 신속한 진화대책을 점검함으로써 재난발생에 사전 대비하고 유관기관 간 협조체계를 유지해 대형산불 예방으로 산불피해를 대폭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ktitk@fnnews.com 김태경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