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

예금취급기관 2월 가계대출 잔액 688조원

예금취급기관 2월 가계대출 잔액 688조원

예금취급기관의 가계 대출 잔액이 사상 최고치를 다시 썼다.

시장에서는 한국 경제가 '가계부채 1000조원 시대'에 본격적으로 들어섰다는 평가다. 가계빚은 경제 성장과 동행하는 특성이 있지만 최근 그 속도가 지나치게 빠르다는 데 우려를 낳고 있다. 특히 저소득.서민계층을 대상으로 한 고금리 대출이 급증하고 있어 이들의 파산 위험이 커지고 있다

8일 한국은행이 내놓은 '예금취급기관 가계대출' 자료에 따르면 2월 예금은행과 비은행 예금취급기관(저축은행.신용협동조합.새마을금고.상호금융)의 가계대출 잔액은 총 688조1400억원으로 한 달 전보다 3조원이 늘었다.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하면 5.1%(33조7000억원) 늘었다. 이는 가계대출 잔액이 사상 최대였던 작년 12월(687조1864억원)에서 올해 1월(685조1907억원) 소폭 감소한 뒤 증가세로 돌아선 것이다. 대출잔액을 한 달 전과 비교하면 주택담보대출(419조8000억원)이 1조8000억원 늘고 마이너스통장, 예.적금담보대출 등 기타대출(268조3000억원)도 1조2000억원 늘었다.

이재기 한은 금융통계팀 차장은 "2월 주택매매 거래량이 급증해 주택담보대출이 대폭 늘었다"면서 "1월 설 연휴와 관련된 자금소요가 2월에 결제일이 돌아와 마이너스통장 등 기타대출이 늘어난 영향도 있다"고 설명했다.

금융기관별로 보면 상대적으로 저소득층.저신용자가 몰리는 제2금융권의 가계대출이 더 크게 늘었다. 지난 2월 시중은행을 포함한 예금은행의 대출 잔액은 전년 동기 대비 5.1% 늘었지만 상호저축은행 신용협동조합·상호금융·새마을금고 등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의 대출은 8.1% 급증했다. 이처럼 제2금융권 가계부채가 특히 많아진 것은 생활비를 마련하기 위한 서민들의 생계형 대출이 급증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소득 대비 빚 부담도 커지고 있다. 개인의 처분가능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2004년엔 103%였지만 작년 6월에는 137%를 기록했다. 수입은 정체돼 있는데 빚 갚는 데 들어가는 돈은 많아지니 가계의 소비 여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취약 계층에서는 이미 가계부채 부실화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한국은행이 지난해 10월 국회에 제출한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3월 말 기준 자영업자의 부채 450조원 중에서 잠재위험부채가 60조7000억원, 고위험부채가 13조5000억원에 달한다.
한은은 가처분소득 대비 원리금상환 비율(DSR)이 40% 이상이면서 주택담보비율(LTV)이 70% 이상인 대출을 잠재위험 부채로, 잠재위험부채 중 60세 이상이 보유한 대출을 고위험 부채로 분류했다.

한편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말 현재 가계신용 잔액은 1021조3000억원으로 1년 전에 비해 57조5000억원 늘었다. 가계신용은 시중은행 등 금융기관의 가계대출은 물론 카드사의 판매신용까지 포괄한 개념으로 가계부채 수준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지표다.

kmh@fnnews.com 김문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