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

野 을지로위 출범 1년 “생활임금제, 남양유업방지법 도입 약속”

새정치민주연합 을지로위원회가 출범 1년을 맞아 그동안의 성과를 발표하고 향후 더 활발한 활동을 약속했다. 박영선 원내대표가 을지로위원회에 대한 예산 배당을 약속한 만큼 앞으로 을지로위원회의 역할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새정치민주연합 을지로위원회 위원장인 우원식은 12일 국회 기자회견에서 "45명의 국회의원이 책임의원으로 참여하는 가운데 민생입법과 을(乙)예산 확보를 위한 단식농성, 철야농성, 새벽 현장 방문, 사례발표, 토론회, 간담회, 기자회견 등 공식 일정만 343차례 진행했고, 100건의 법률상담을 지원했다"고 밝혔다.

실제 을지로위원회는 남양유업 사태를 해결하고 CU·세븐일레븐·미니스톱간 분쟁을 중재했으며 태광티브로드·인천공항공사 하청 비정규노동자 및 우체국위탁택배기사의 처우를 개선하고 새누리당 홍문종 사무총장을 중심으로 논란이 된 아프리카예술가의 노동착취 문제를 해결하는 등의 가시적 결과물을 냈다.

을지로위원회는 무엇보다 민생 현장의 요구를 국정감사, 입법, 예산 등 의정활동에 반영해 그 결과를 다시 현장과 공유하는 '현장-국회 연계시스템'이라는 정치적 전형을 창출했다고 자평했다.

을지로위원회는 세월호 참사에서 드러난 정부의 무능함을 지적, "민생현장을 돌아본 결과 각계각층에서 국민의 삶이 흔들리고 대한민국호가 침몰하고 있음을 확인했다"며 "국민들의 흔들리는 삶을 바로잡고 대한민국호의 침몰을 막기 위해 불안한 현실을 뜯어고치고자 한다"고 전했다.

이를 위해 생활임금제(최저임금 현실화) 도입에 있어 새누리당의 반대를 극복하고 유통시장의 불공정 관행을 개혁하며 남양유업방지법을 조속히 통과시키겠다고 약속했다.
또 '갑(甲)'으로 대표되는 지방정부의 횡포를 막기 위해 계약 공정화에 대한 조례안을 도입하고, 건설업계 불공정 사례를 개선하기 위해 구성한 건설하도급태스크포스(TF)에서 6·4 지방선거 이후 검찰고발 및 공정거래위원회 제소를 추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박 원내대표는 원내대표 경선에서 △을지로위원회 확대 개편 △을지로위원회에 대한 원내 예산 투입을 공약했다. 이에 따라 향후 을지로위원회의 활동 범위 및 규모가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ys8584@fnnews.com 김영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