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

친정체제 구축 강화로 안정적 2기 내각 출범

박근혜 대통령은 15일 논란의 중심에 서 있던 김명수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후보자에 대한 지명을 스스로 거둬들였다. 이미 안대희·문창극 두 총리 후보자의 중도낙마로 용인술에 큰 흠결이 남았던 만큼 이번 지명 철회는 백년대계를 총괄할 교육 수장으로서 부적격 판정을 내린 국민여론을 수렴한 결단으로 해석된다. 국정공백의 장기화를 더이상 방치할 수 없는 데다 국민 눈높이의 인사청문회 과정을 충분히 감안한 '고육책'인 셈.

새누리당 대표 시절 '찰떡 공조'를 해온 황우여 의원을 새 사회부총리 후보자로 전격 발탁, 국정운영의 핵심 두축인 '경제'는 최경환 부총리, '교육'은 황우여 부총리 카드를 선택함으로써 친정체제 구축을 통한 안정적인 내각 운영과 함께 하반기 국정 드라이브를 강력히 걸겠다는 박 대통령의 의지가 녹아있다는 관측이다. 다만 위증논란 등으로 지명철회 압박을 받아온 정성근 카드는 국회 인사청문경과보고서 재송부를 요청함으로써 사실상 임명을 강행하겠다는 의지를 내보였다.

■인사후유증 털고 안정적 2기내각 운영 '방점'

박 대통령은 이미 지난 14일 수석비서관 회의를 통해 '이번주 중 2기 내각 출범'의 예고편을 제시, 바로 다음날인 이날 김명수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후보자의 지명을 철회하고 친박근혜계 인사인 황우여 전 새누리당 대표를 새로 지명했다. 공석중인 안전행정부 제2차관과 새로 신설되는 청와대 인사수석도 내정했다. 이는 하루빨리 인사 후유증을 털고 국정공백의 장기화를 막기 위해 2기 내각을 공식 출범시켜 하반기 최우선 국정과제인 '민생회복을 통한 경제활성화'에 매진하겠다는 의지가 깔려있다.

국정운영의 투 톱에 친박계 인사이자 국정철학을 공유해온 최경환 의원과 황우여 의원을 각각 포진시킴으로써 내각 장악력을 높이고 국정과제의 성과를 냄으로써 하반기를 경기회복과 민생안정의 모멘텀으로 삼겠다는 복안인 셈이다. 두 사람은 새누리당 대표와 원내대표로 당정청간 정책 조율과 정국 현안에 대해 호흡을 맞춰온 바 있다.

박 대통령은 이미 수석비서관회의를 통해 "지금이 가장 중요한 시기로 때를 놓치면 겨우 살려낸 경기회복의 불씨가 꺼질 수도 있다"는 우려를 내놓은 만큼 2기 내각 진용짜기의 완료를 통해 조속한 국정정상화와 하반기 민생안정에 국정운영의 동력을 집중하겠다는 것이다.

이주영 해양수산부 장관을 정책위의장 러닝메이트로 집권당의 원내대표를 거쳤고 당 대표 시절부터 찰떡 호흡을 해온 황 후보자의 발탁은 최경환 경제부총리와 함께 내각의 투톱에 친정체제를 구축함으로써 하반기 경제재도약 달성과 국가혁신작업의 원활한 추진을 하겠다는 의미가 내포돼있다는 관측이다. 정치력을 겸비한 중진을 사회부총리를 겸한 내각의 요직에 포진시켜 국정장악력을 높이는 한편 이미 국민검증을 거쳤다는 점에서 무리없는 국회 인사청문회 통과를 염두에 둔 인선이라는 분석이다.

또한 야당 입장에선 만족스럽지는 않지만 최근 여야 원내지도부와의 회동에서 박 대통령에게 건의한 김명수 카드 임명 재고 요청이 수용됐다는 점에서 정치권과의 소통을 통해 걸러진 의견을 국정운영에 반영한 결과라는 명분도 이뤘다는 평가다. 한편 전임 노무현 정부시절 중앙인사위원회 인사정책국장을 역임한 정진철 내정자를 신설되는 청와대 인사수석비서관에 발탁, 각종 존안자료 점검을 비롯한 시스템적 요소를 향후 정부 고위직 인사에 적극 반영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김명수 버리고 정성근 지키기?

다만 정성근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청문보고서 재송부로 인해 야당이 강력 반발하고 있는 게 다소 부담이다. '김명수 버리고 정성근 얻기'가 향후 국정운영에 어떤 정치적 부담으로 다가올 지 걱정스런 대목이다.


박 대통령은 정 후보자와 정종섭 안행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경과보고서 송부를 이날 자정까지를 시한으로 국회에 재요청했다. 사실상 임명절차를 밟겠다는 의지의 표현인 셈이다. 더이상의 국정공백을 최소화하고 하반기 민생회복을 위한 명분에도 불구, 위증논란까지 불거지면서 야당의 집중 포화를 맞고 있는 정성근 후보자에 대한 임명 강행시 야당의 반발 수위가 최고조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모처럼 '훈풍모드'로 접어든 여의도 정치와의 소통무대는 다시 냉각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haeneni@fnnews.com 정인홍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