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

[폐자원에서 온실가스 해법찾다] (1) 고형연료, 세계의 에너지 화두로 떠올라

[폐자원에서 온실가스 해법찾다] (1) 고형연료, 세계의 에너지 화두로 떠올라

#. 지구가 신음하고 있다. 인도와 필리핀 등 동남아지역은 폭염과 가뭄에 시달리고 남미는 폭우로 홍수와 산사태가 잇따르고 있다. 유럽과 미국에서도 살인적인 폭염과 홍수로 수많은 재해를 입었고 아프리카는 그나마 있던 마실 물조차 구할 수 없다. 극지방 빙하는 이 시간 현재도 끊임없이 녹으면서 해수면을 상승시키고 있다. 이미 지난 100년 동안 해수면은 23㎝가량 상승했다. 이대로라면 섬이나 해안 도시는 사라질 수도 있다. 따뜻한 지중해에서 사는 물고기들이 영국 북해에서 발견되고 펭귄과 북극곰 수가 급격히 감소하는 등 생태계 이상 징후도 곳곳에서 포착된다. 우리나라도 피할 수 없다. 여름엔 폭우, 겨울엔 폭설의 피해를 보는 해가 반복된다. 겨울이 사라지고 사막이 생길 가능성도 있다. 올여름엔 부산 해운대 해수욕장에서 상어가 출몰, 퇴치기를 설치하는 소동을 벌이고 있다. 남의 일이 아니다. 온난화의 영향이다. 문명의 시작부터 필요했던 에너지를 산업 발달과정에서 더욱 무분별하게 사용하면서 온실가스를 과다 배출, 지구온난화를 가속화시키고 있다. 주범이 확실한 만큼 해결방법도 분명하다. 폐기물재활용, 친환경적 원료 사용, 신재생에너지 개발 등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여야 한다고 세계는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 파이낸셜뉴스는 이에 따라 온실가스를 줄이는 대표적인 방법인 폐기물 재활용, 신재생에너지 등의 세계적 흐름을 분석하고 우리나라의 현주소를 시리즈로 진단해본다.

■환경과 거리를 두는 '친환경' 조력.풍력.원자력

시진핑 중국 국가수석이 국빈 방문한 지난 3일 환경부와 중국 환경보호부는 '한.중 환경협력에 관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미세먼지, 화력발전소 등 대기오염 주범에 대해 공동 대응하자는 게 각서의 골자다.

양국이 양해각서에 화력발전소 문제를 거론한 것은 석탄 등 유연탄을 사용하는 화력발전소의 환경오염과 생태계 파괴에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서다. 실제 양국은 화력발전소에서 발생시키는 이산화탄소 등 때문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발전소의 환경오염과 생태계 파괴는 화력발전소에만 그치지 않는다. 조력발전소는 조류나 조수 간만 등의 차이를 이용, 수차 발전기를 돌려 전력을 생산하는 곳이다. 언뜻 친환경적으로 인식된다.

하지만 실상은 다르다. 조력발전은 막대한 이윤을 창출하지만 어장, 생태계 변화 등 직.간접적 피해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표적인 것이 충남 태안 가로림만 조력발전이다. 이곳은 세계 최대 규모의 조력발전이나 전기 생산량은 충남 서산시 전체 사용량의 40%에 머무르는 것으로 전해진다. 하지만 이에 비해 갯벌 손실, 수질오염, 홍수통제 기능 상실 등 환경파괴 우려는 훨씬 크다며 주민과 환경단체는 반발하고 있다.

바람의 힘을 이용해 전기를 만들어내는 풍력발전소도 친환경 발전으로 꼽힌다. 말 그대로 바람이 원료라는 것이다.

그러나 풍력발전소를 짓기 위해선 그 장소의 자연훼손과 지형변화가 불가피하다. 풍력발전의 규모를 감안하면 설치 지역의 생태계 파괴도 우려된다. '천혜의 자연경관'을 자랑하는 제주도 풍력발전소, '천상의 화원'인 강원도 정선군 함백산 만항재 풍력발전소가 그랬다.

원자력 발전소는 위협 그 자체다. 세계는 이미 2011년 후쿠시마 원자력 폭발 사고 때 그 공포를 충분히 경험했다. 태양관은 전력 공급에 한계가 드러나고 있다.

■세계 관심은 폐자원 재활용 '고형연료'

이에 따라 세계는 그동안 전력을 생산하면서도 환경오염이나 지구온난화를 가속시키지 않는 온실가스 감축 방법을 찾아왔다.

2011년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에서 법적 구속력이 있는 새로운 감축 체제를 위한 협상(더반 플랫폼 출범)을 시작하고 선진국 2차 온실가스 의무 감축기간을 2020년까지 연장(교토의정서 연장)키로 합의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미국은 화력발전소의 이산화탄소 배출규제 및 신재생에너지 보급확대 등 기후변화 대응비전을 발표했고 미국과 중국은 이산화탄소 포집.저장 실증프로젝트 등 상호협력을 추진키로 했다. 유럽연합(EU) 역시 공세적인 2030 감축목표를 설정했다.

우리도 이에 발맞춰 폐자원에너지 센터 설립,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등 국가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을 세웠다. 폐자원에너지센터는 고형연료제품을 체계적으로 관리.운영하는 곳이다. 고형연료를 폐기물을 버리지 않고 다시 제품으로 만드는 신재생에너지의 세계적 '신(新)트렌드'다.

쉽게 말해 고형연료제품의 수입.제조부터 판매까지 모든 과정을 책임지는 곳이라는 뜻이다. 이미 독일과 이탈리아, 네덜란드에서 폐자원에너지센터를 운영 중이며 이탈리아는 유럽 폐자원에너지 관리의 사무국 역할까지 하고 있다. 아시아에선 우리나라가 처음인 것으로 알져졌다.


다만 배출권거래제는 정부가 기업에 특정기간 온실가스를 배출할 수 있는 할당량을 정해주고 이를 초과하는 부분에 대해선 스스로 온실가스를 감축하거나 다른 기업에 배출권을 사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재계의 극심한 반발에 부닥쳐 내년 1월 1일 시행 여부를 장담할 수 없는 상태다.

환경공단 관계자는 "폐자원에너지센터 본격 운영으로 연간 6990억원의 경제활성화가 기대된다"면서 "신재생에너지 중 태양광, 풍력, 수력 등에 대한 공급한계로 폐자원에너지에 대한 국제적 관심이 갈수록 높아지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jjw@fnnews.com 정지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