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과학 >

류머티즘관절염, 발병 6개월내 치료 필수

류머티즘관절염은 발병 후 6개월 이내에 치료를 시작해야 장애를 겪지 않는데, 우리나라 류머티즘관절염 환자들은 병원을 찾는 기간이 20개월로 길어 초기대응에 실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류마티스학회는 류머티즘관절염 환자 5376명(남자 896명, 여자 4480명)을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류머티즘관절염 환자는 첫 증상 발현 후 진단까지 평균 20.4개월이 걸렸다고 14일 밝혔다.

반면 캐나다 6.4개월, 벨기에 5.75개월, 덴마크 3~4개월 등에 비해 무려 3~5배 정도 더 늦다.

대한류마티스학회 고은미 이사장(삼성서울병원 류마티스내과)은 "류머티즘관절염은 관절 통증에서 시작해 관절 변형, 나중에는 관절 파괴로 이어지며 다양한 합병증을 동반하는 만큼 초기에 진단받아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발병 나이 어릴수록 진단 지연

특히 발병 나이가 어릴수록 진단 지연이 심해 치료가 어려웠다.

20세 미만에서 발병한 경우는 40.7개월, 20대 31.6개월, 30대 24.6개월, 40대 18.9개월, 50대 14.1개월, 60대 11.8개월, 70대 이상은 8.8개월로 발병 나이가 어릴수록 증상 발현 후 진단까지의 기간이 더 길었다.

류머티즘관절염은 초기부터 관절 손상이 시작돼 치료가 불충분할 경우 증상 발현 2년 이내에 환자의 70%에서 관절 손상이 발생하며, 진단이 지연될수록 장애를 겪는 비율도 높아진다.

또 기능장애가 없는 류머티즘관절염 환자 비율은 진단까지 12개월 미만 걸린 환자(22.9%)가 12개월 이상 걸린 환자(20%)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대한류마티스학회 심승철 홍보이사(충남대학교병원 류마티스내과)는 "젊은 연령층의 환자는 나이 많은 연령층에 비해 오히려 관절염에 대한 지식이나 경각심이 부족해 관절 증상을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며 "이 때문에 진단 지연 현상이 더 심하고 제때에 치료받지 못해 사회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다"고 설명했다.

■조기진단 위해 보험 적용해야

세계 각국에서 류머티즘관절염이 의심되는 모든 환자에게 항CCP항체를 확인하는 것이 권장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항CCP 검사가 시작된 2006년 이후 환자들의 진단 지연 기간이 줄어들었다.

2006년 이전에 진단받은 환자는 22.1개월, 2007년 이후 진단받은 환자들은 18.8개월로 2007년 이후 진단이 약 4개월 앞당겨졌다.

또한 류머티즘관절염인데도 류머티즘인자와 항CCP항체 모두 음성인 혈청음성 류머티즘관절염 환자들은 MRI 등의 영상의학검사를 통해 염증 상태 등을 확인하는 것이 조기 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항CCP 검사와 MRI 검사 등은 류머티즘관절염의 진단 사용에 보험급여가 적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많은 환자가 검사비용이 부담스러워 검사를 꺼려 조기진단과 초기 치료 방향 설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고 이사장은 "현재 국내에는 정확한 진단을 내리는데 필수적인 검사의 보험 급여가 적용되지 않아 환자들이 비용 부담 때문에 검사를 거부하는 경우가 많다"며 "제도적 뒷받침을 통해 류머티즘관절염 환자의 진단이 늦어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pompom@fnnews.com 정명진 의학전문기자

■ 류머티즘관절염이란?
- 류머티즘 질환은 우리 몸의 관절과 연골, 뼈, 근육, 인대 등에 생기는 질환으로 그 종류가 120가지가 넘는다. 그중 대표적인 것이 류머티즘관절염이다. 이 질환은 관절을 싸고 있는 얇은 막에 만성 염증이 생기는 자가면역질환이다.

자가면역질환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침투했을 때 방어역할을 하는 면역계가 바이러스 대신 자신의 몸을 공격하는 것이다. 류머티즘관절염이 시작되면 활막의 염증이 증식돼 두꺼워지면서 연골을 파괴하고 관절 주위의 뼈도 손상된다. 원인은 아직 확실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환경과 유전이 의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