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

부산, 경제·건강·사회안전망 취약

부산의 도시경쟁력이 전국 16개 시·도 가운데 10위, 7개 특별시·광역시 중 5위를 기록하는 등 꼴찌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시는 3일 서병수 시장의 민선 6기 출범과 더불어 추진해온 부산의 도시경쟁력 평가 결과를 이같이 공개했다. 부산시는 지난 8월 26일부터 민간 경영진단 전문기업인 엘리오앤컴퍼니, 한국능률협회컨설팅(KMAC) 컨소시엄을 공개경쟁으로 선정해 내년 4월까지 8개월간 시정경영진단을 진행하고 있다.

이날 공개된 용역 중간보고서에 따르면 경제, 복지, 문화 등 10대 분야 78개 지표를 토대로 평가한 부산의 도시경쟁력은 서울, 울산, 대전, 제주, 경기, 인천, 경남, 충남, 충북에 이어 10위였다. 대구, 광주, 경북, 강원, 전북, 전남이 그 뒤를 이었다. 서울 등 전국 7개 특별시·광역시만 비교하면 5위로 거의 꼴찌다.

부산시는 많은 잠재력이 있는 데도 경제 분야와 건강·사회안전망 분야가 특히 취약해 해외 선진도시는 물론 국내 광역 지방자치단체와의 경쟁에서도 밀리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렇게 된 데는 대외 환경 요인도 있지만 그것만 탓해서는 부산의 밝은 미래를 기약할 수 없다고 보고서는 밝혔다. 공직사회가 부산시의 경쟁력이 전국 1위라고 생각하는 등 부산시의 현실이나 과거 시정에 대한 평가에 있어 시민단체의 평가나 현실과는 상당히 다른 인식을 하고 있는 것은 적지 않은 문제점이라고 지적했다. 여기에다 각종 지표의 추세가 하락세여서 이대로 간다면 부산시의 도시경쟁력은 더욱 나빠질 것이라고 예측했다.

난국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한정적 재원에서 물량적 사업 추진보다는 전략적 사업 추진이 필요하고 건설 중심의 하드웨어 확충 못지않게 활용도를 제고할 수 있는 기획력과 창의력이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보고서는 부산시의 비전 달성을 위한 7대 전략을 수립 중이며, 1등 산업 확보전략과 복지메뉴판 제도 도입 등 일부 전략도 소개했다.
부산시 조직과 인사에 대해서는 인력이 고령화되고 관리가 중시되는 조직으로 진단했다. 책임시정을 위해서는 경제부시장 기능을 강화하고 경제와 관련된 조직은 연구개발(R&D) 기능, 인재 양성, 좋은 기업 유치 등 일자리 창출을 위해 통합관리하고 통상기능을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 밖에 첨단산업을 담당하는 과는 민간전문가를 개방직으로 채용할 것을 권유했다.

roh12340@fnnews.com 노주섭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