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이그 특사 이위종 등 후손 11명에 국적 부여
광복 70주년을 앞두고 진짜 김일성 설이 제기되는 김경천 장군 등 독립유공자 후손 11명에게 특별귀화가 허용된다. 법무부는 김 장군, 이위종 지사, 이인 초대 법무부 장관 후손 등 11명에게 특별귀화를 통해 대한민국 국적을 부여한다고 5일 밝혔다.
김현웅 법무부 장관은 이날 서울 남대문로 안중근의사기념관에서 특별귀화를 하기 위해 입국한 이들과 만나 선친들의 헌신적인 희생을 기렸다. 김 장관은 "독립유공자들이 보여준 조국 독립에 대한 고귀한 믿음과 헌신적인 활동에 감사한다"며 "해외에 거주하는 독립유공자 후손들을 적극적으로 찾아 특별귀화를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김 장군은 항일 독립운동의 근거지였던 만주와 연해주에서 무장 항일투쟁을 이끌어 '백마탄 김 장군'으로 널리 알려졌다. 학계에서는 북한 김일성 주석이 그의 항일투쟁 경력과 이미지를 도용했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다.
이위종 지사는 이준 열사와 함께 1907년 헤이그 만국평화회의에 특사로 파견돼 을사늑약의 무효를 역설하고 독립운동에 헌신했다.
이인 초대 법무부 장관은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들의 무료 변론을 통해 독립운동을 지원했다. 만년에 재산을 한글학회에 기증해 재정지원을 하기도 했다.
이인 전 장관의 손자 이준씨(50.프랑스 국적)를 제외하고 이위종 지사의 외손녀인 류드밀라씨(79), 김경천 장군의 손녀 옐레나씨(54) 등 10명은 본래 러시아 국적이다.
이들에 대한 국적증서 수여식은 오는 12일 정부과천청사에서 열린다.
법무부는 2006년 이후 매년 독립유공자의 후손에게 특별귀화를 허가해 932명에게 대한민국 국적을 부여했다.
hiaram@fnnews.com 신아람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