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년간 국내 언론에서 가장 논란이 된 일본의 망언 주제는 위안부였으며, 망언으로 가장 논란이 된 인물은 아베 신조 총리로 나타났다.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연구센터는 2005년 7월부터 2015년 6월까지 8개 신문에 보도된 기사 814건을 분석한 미디어 이슈 보고서 <망언의 네트워크: 신문뉴스 빅데이터 분석으로 본 일본 망언 보도 10년사>를 발간했다고 18일 밝혔다.
먼저 공동 인용된 정보원 수를 기준으로 논란의 중심이 된 인물을 찾는 방법인 뉴스 정보원 연결망 분석 결과, 지난 10년간 망언 논란 3인방은 아베 신조 총리, 하시모토 도루 오사카 시장, 아소 다로 전 총리(현 부총리)였다. 아베 총리는 공동 인용 정보원 수가 무려 82명이나 됐다.
보도된 망언 건수는 하시모토 시장이 전체 595건 중 107건으로 가장 많았다. 다만 하시모토 시장은 주로 위안부 문제에 대해서만 발언했다. 반면 아베 총리는 보도된 망언 수도 93건으로 두 번째로 많았을 뿐만 아니라 과거사, 위안부, 야스쿠니, 평화헌법, 독도 등 망언으로 다뤄진 거의 모든 주제에서 논란을 일으켰다. 망언 인사가 가장 많은 주제는 ‘과거사’로 32명에 달했으며 독도 문제에 대한 망언 인사도 31명에 달했다.
일본인 망언 인사의 소속을 살펴보면 전체 99명 중 82%인 81명이 정치인으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다만 2010년대 들어 언론인이나 작가 등 문화계 인사의 망언이 보도되는 경우가 점차 늘고 있다. 1990년대 비자민당 정권이 과거사에 적극적으로 사과하면서 이에 대한 반발로 특히 극우 시민단체나 문화계 인사의 망언이 크게 늘었는데, 국내 언론은 2010년에 들어서야 이들 발언의 심각성에 주목한 것으로 보인다.
분석 대상 기사에서 가장 많이 다룬 주제는 위안부(352건)였으며, 독도(302건), 과거사 및 침략(179건) 순이었다. 10년 전엔 독도 문제의 비중이 상당히 높았지만, 점차 위안부 문제가 점점 더 주목을 받았다. 기사에서 중요한 단어를 부각해 보여주는 태그 클라우드를 비교하면 2005년 1년치 기사에선 주요어가 독도와 교과서였지만 2013년 기사에선 위안부와 야스쿠니가 눈에 띄었다.
전체적으로 망언 관련 보도는 독도, 위안부, 교과서, 과거사를 다룬 내용이 많고, 보도된 망언자체도 이와 관련된 주제가 많았다. 독도를 뺀 나머지는 3대 담화를 통해 일본 정부가 이미 반성을 표명한 것이다.
이는 망언이 바로 3대 담화를 정면으로 반박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연구센터 측은 “아베 담화가 아쉬운 것은 미래지향적 관계를 요청하는 것처럼 보이는 아베 담화가 실은 근본적으로 망언 논리를 따름으로써 되려 한·일간 관계를 짧게는 무라야마 담화 이전, 길게는 3대 담화 이전인 1980년대 초로 20~30년 후퇴시킨 셈”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시간이 흘러 모든 가해자와 희생자가 세상을 떠난다고 해도 용서를 가치 있게 만드는 사과의 책임과 의미는 사라지지 않는다”며 “일본 전후 세대는 경제 지원 등 자신들이 스스로 만든 틀에서 행동하는 것이 아니라 이전 세대가 저지른 과오와 이에 대한 반성의 역사를 솔직하고 분명히 계승함으로써 아시아 각국과 함께 하는 평화의 주체가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solidkjy@fnnews.com 구자윤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