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대표, TF회의 참석해 완전국민경선제 거듭 주장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전략공천 불가 방침을 내세우며 완전국민경선제(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을 거듭 주장했다. 친박(친박근혜)계를 중심으로 비판 공세가 계속됨에 따라 당내 회의론 확산 방지를 위해 김 대표가 직접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을 위해선 야당과의 합의가 필요해 새정치민주연합이 자체 혁신안을 통과시키는 등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어 가능성은 여전히 불투명한 상황이다.
이에 김 대표가 새정치연합 문재인 대표와 선거제도 방안 등에 대해 담판을 짓기 위한 회동을 추진하고 있어 회동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김 대표는 24일 국회에서 열린 당 최고위원회의 이후 기자들을 만나 "당대표인 제 입장에선 전략공천은 단 한명도 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내년 총선에서 전략공천이 없느냐는 질문에도 "현재로선 그렇습니다"라고 답했다. 내년 총선부터 전략공천을 배제하고 오픈프라이머리를 실시하겠다는 기존 입장을 거듭 확인한 셈이다.
서청원 최고위원을 비롯해 윤상현, 홍문종 의원 등 연일 친박계 의원들이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이 현실성이 떨어진다며 연일 공세를 이어감에 따라 직접 반박에 나선 셈이다.
김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국민공천제 테스크포스(TF) 회의에도 참석해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에 대한 강한 의지를 피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민공천제TF 회의에 참석한 황영철 의원은 "기본 원칙은 국민 의사를 최대한 반영한 안을 만들어 내는 것이며, 전략공천을 하지 않는다는 것"이라면서 "여기에 다시 전략공천을 일부 포함시키자는 이야기가 나오면 그때는 큰 싸움이 일어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당내엔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의 현실성이 희박하다 점에서 '출구전략'을 수립해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는 분석도 있다. 원유철 원내대표가 언급한 '제3의 길'도 이같은 맥락에서 나온 것으로 해석된다.
다만 자신의 정치생명까지 걸었던 오픈프라이머리를 철회할 경우 김 대표의 입지가 급격히 흔들릴 수도 있다는 점에서 후퇴할 명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이에 야당과의 협상 실패가 하나의 명분이 될 수 있다는 점과 담판을 통해 극적으로 도입 합의가 도출될 수도 있다는 전망에 따라 여야 대표의 회동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김 대표가 오픈프라이머리에 대한 문 대표 등 야당의 지지를 얻어내면 당내 반발을 이겨내고 도입을 관철 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 합의가 불발되더라도 다른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 명분으로 활용될 수 있어 여야 회동은 김 대표의 '히든 카드'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된다.
문제는 농어촌 지역구와 비례대표 축소 여부를 두고 여야 모두 뚜렷한 이견을 보이고 있어 두 대표간 회동도 난항이 예상된다. 새누리당은 야당이 주장하는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실시할 경우 여당에 불리해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고, 새정치연합 측에서도 여당이 제안하는 오픈프라이머리를 도입하기 위해선 비례대표 유지 등 최소한의 야당 요구가 수용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어 절충점을 찾기가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jyyoun@fnnews.com 윤지영 조지민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