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장기와 조직의 이식수요에 비해 기증건수가 부족해 장기이식 대기 중 사망자가 매년 500여명에 이르고 인체조직도 자급률이 26%로 낮아 기증활성화가 절실한 상황이다. 더욱이 장기와 인체조직은 기증 및 이식과정의 유사한 점이 많으나 서로 다른 법률과 관리체계로 분리돼 있어, 비효율성과 기증자 불편을 초래해 선진국 수준의 통합 관리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 이에 보건당국이 관련 기관과의 협력 강화를 통해 장기와 인체조직 기증 활성화에 나선다
보건복지부는 12일 한국장기기증원, 한국인체조직기증원과 장기와 인체조직 기증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력체계 강화를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
복지부와 양 기관은 장기-인체조직의 기증활성화를 위해 통합 관리체계 구축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장기-조직 기증 연계 강화 △뇌사 장기조직 동시기증자 동의율 제고 △콜센터 통합 △뇌사장기기증증진프로그램 공동운영 △통합법 마련 △지역사무소 단계적 통합 등에 대해 합의했다.
우선 조직기증이 가능한 뇌사추정자의 경우에는 한국인체조직기증원(KFTD)으로 연계를 강화해 조직기증을 활성화할 계획이다. 또한 그동안 기관별로 운영돼 오던 기증접수번호를 의료기관의 인지도가 높은 '1577-1458'로 일원화하고, 콜센터도 통합하여 함께 운영해 효율적인 협업시스템을 구축하기로 했다.
양 기관으로 구득체계가 분리도해 기관별로 따로 유가족 상담을 실시하던 것을 장기구득기관으로 장기-조직 기증상담을 일원화하거나 장기-조직 코디네이터 동시출동-동시상담 시범사업을 추진해 효율적 상담체계를 구축해 나가기로 했다.
또한 뇌사추정자 인지율을 제고하기 위해 한국장기기증원이 운영하고 있는 뇌사장기기증증진프로그램(DIP)에 대한 장기-인체조직 공동운영 시범사업을 실시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복지부와 양 기관은 정책협의체를 구성해 장기-조직 통합 입법의 효과적 추진, 협력 추진분야의 이행상황 점검 및 개선방안 협의, 협력분야 추가 발굴 등을 논의해 나가기로 했다. 아울러 양 기관이 각각 4개 지역(부산, 광주, 대전, 대구)에 별도 운영 중인 지역사무소를 단계적으로 통합해 예산절감 및 정보공유를 확대하고, 양 기관 관리체계 통합에 대비하기로 했다
복지부 정진엽 장관은 "이번 MOU 체결은 장기-인체조직 통합관리법 제정 이전에 현행법 체계 하에서 기관 간 업무협력을 대폭 강화하여 적극적으로 장기와 조직기증자를 발굴하기 위한 것으로 기증 활성화 효과뿐만 아니라 향후 통합구득기관 설립 기반을 마련하는데 의미가 크다"고 밝혔다.
hsk@fnnews.com 홍석근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