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내부에서 오픈 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를 둘러싼 갈등이 다시 불거지고 있다.
현역 의원 컷오프와 결선투표제 도입 등을 제시한 혁신위원회의 공천 룰을 둘러싸고 현역 의원들과 혁신위간 '신경전'이 표출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양측간 갈등이 현역의원 평가를 담당할 조은 선출직공직자평가위원장이 첫 회의에 참석한 19일 최고위원회에서 노출됐다는 점에서 향후 공천룰 합의과정에서 난항이 예상된다.
당 혁신위원회는 이날 해산을 선언하면서 "당헌·당규의 요구사항을 거부하거나 외면하는 움직임이 계속되고 있다"며 "시스템 공천안을 무력화시키기 위한 시도이자 기득권 사수를 위한 반혁신"이라며 당 소속 의원들이 마련한 공직선거법 개정안을 정면 비판했다.
김상곤 혁신위원장은 기자들과 만나 "혁신안을 중앙위와 당무위에서 결정하는 과정이 있었는데, 그런 과정을 묵살하는 듯한 방안이 거칠게 나오는 건 적절치 않다"고 불만을 표시했다.
혁신위는 당 지도부가 강한 의지를 갖고 혁신안 실천에 나서고 현역의원 평가를 담당할 조은 위원장의 역할론과 인적쇄신 등을 주문하며 활동을 마감했다.
공직선거법 개정안은 최규성 의원이 소속 의원들의 서명을 받아 마련했으며 살인·강도 등 5대 중대범죄자가 아닌 당원이라면 누구나 오픈 프라이머리에 나설 수 있도록 했다.
하지만 혁신위 측은 공직선거법 개정안 발의의 이면에는 혁신위의 공천안을 무력화시키는 한편 현역 의원들의 기득권 사수 의도가 깔려있다며 의구심을 거두지 않고 있다.
개정안이 확정되면 혁신안의 주요 골자인 예비후보 도덕성 검증 강화, 현역의원 하위 20% 공천 배제, 지역구 전략공천 최대 20% 실시, 결선투표제 실시 등이 사문화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다만 당초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의 강력한 실행 의지가 담겼던 오픈프라이머리 도입 논의가 안심번호공천제 등으로 거의 동력을 잃은 상황이어서 여야 합의로 국회를 통과할 지는 미지수라는 관측이다.
게다가 야권 내부에선 혁신위의 공천안이 '기득권 내려놓기'와 '당 혁신을 통한 지지기반 확대' 등을 명분으로 태동한 만큼 이를 무력화시키는 내용의 공직선거법 개정안이 통과될 가능성은 적다는 의견도 있다.
문재인 대표는 일단 오픈프라이머리와 현역의원 평가는 별개라는 입장을 유지하며 현역 평가작업은 그대로 진행해 하위 20%를 배제하는 혁신안을 지켜야 한다는 입장이다.
문 대표가 이날 평가위 검토를 거쳐 조만간 평가세칙까지 의결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한 것도 혁신안의 근간을 훼손할 수 있는 정치적 의도에 대해 단호하게 대응하겠다는 의지가 깔려있다는 관측이다.
haeneni@fnnews.com 정인홍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