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

비주류 오픈프라이머리 당론채택 무산..박, 문대표 사퇴 직격탄

내년 총선 공천룰을 둘러싼 새정치민주연합의 주류와 비주류간 대립이 격화되고 있다. 새정치민주연합 비주류는 12일 오픈 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 당론 채택에 나섰지만 이를 반대하는 주류측의 강도높은 저항에 부딪혀 당론 채택은 무산됐다.

비주류측은 이날 오전과 오후 의원총회를 각각 열어 오픈 프라이머리 법제화를 위한 당론 채택 문제를 논의했지만 주류와 비주류 의원 간 극명한 입장차와 회의 막판 의결 정족수 부족으로 표결에도 붙이지 못했다.

이로써 당초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을 통해 주류측이 주도한 현역의원 20% 컷오프 등이 포함된 당 혁신안을 무력화시키고 문재인 대표의 리더십 부재를 겨냥해 대표직 사퇴까지 전선을 확대하려던 비주류측의 전략에 일단 제동이 걸렸다.

문 대표 체제에 대한 불신감이 팽배한 호남민심을 등에 업고 당 혁신안 와해와 오픈프라이머리 당론 채택을 일사불란하게 밀어붙이려던 비주류의 행보에 브레이크가 걸리면서 주류측에 비해 열세인 조직력을 다시한 번 절감하게 됐다는 관측이다.

이종걸 원내대표는 마무리 발언에서 "오늘 발언자 절반 정도가 당론으로 하는 게 부적절하다고 말했다"며 "원내 지도부가 공식기구로 추진하는 게 현재로선 곤란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날 의총은 최규성 의원 등 의원 43명이 오픈 프라이머리 도입을 논의해달라는 소집요구서를 제출함에 따라 개최됐다. 앞서 최 의원은 지난달 자신을 포함한 79명의 서명을 받아 오픈 프라이머리 법제화를 원내 지도부에 요구한 바 있다.

그러나 비주류측은 일단 전열을 재정비한 뒤 통합전대 실시나 조기 통합선대위 구성 등 지도체제 변경을 지속적으로 요구할 태세여서 지도부 교체를 둘러싼 당내 분란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김대중 전 대통령의 복심으로 호남지역에서 일정부분 영향력을 행사하는 박지원 전 원내대표는 이날 문 대표와 전격 회동했다.

이 자리에서 박 전 원내대표는 호남민심의 이반이 가속화되고 있는 점을 설명하면서 문 대표에게 '대승적 차원'에서 대표직을 사퇴, 당 내홍을 봉합하고 계파간 통합을 이뤄내는 데 '밀알'이 되줄 것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 전 원내대표는 "이런 상황에서 내년 총선에서 승리하고 정권교체를 할 수 있겠는가"라며 "이제 대표가 물러나야 한다"고 직격탄을 날리며 대표직 사퇴를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면서 문 대표가 'N분의 1'로 참여하는 조기 선대위를 구성하든지 물러나서 대권의 길로 갈 것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열린 의총에선 공천룰과 지도체제 등 핵심 쟁점을 둘러싸고 주류와 비주류측이 정면충돌하면서 '드디어 터질 것이 터졌다'는 분위기이다.

주류측 일각에선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을 당론 절차를 밟지말고 해당 상임위원회 차원에서 입법을 추진하자는 의견을 내놓은 반면 비주류측은 당 혁신안이 문제가 많은 만큼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을 당론으로 결정해 입법화를 추진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양측간 대립각이 커지자 당 혁신안과 비주류측의 요청을 적절히 반영, 현역의원 평가 하위 20%에 포함된 그룹에 대해선 공천심사 등에서 사전에 미리 배제하지 말고 감점제를 활용해 심사과정에 반영시키자는 '중재안'(김성곤 의원)이 제안되기도 했다.

haeneni@fnnews.com 정인홍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