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 인체조직 기증 활성화를 위한 콜센터인 '장기·조직 통합정보센터'가 운영되고, 유가족을 위한 상담 체계가 시범 운영된다.
보건복지부는 1월부터 장기와 인체조직 기증 활성화를 위해 (재)한국장기기증원과 (재)한국인체조직기증원 간 업무협력과제를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4일 밝혔다.
복지부는 지난 10월 양 기관의 협력체계를 대폭 강화하기 위해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바 있으며, 2016년 추진을 앞두고 실무협의체를 통해 과제별 세부사항에 대해 논의해왔다.
협력과제를 구체적으로 보면 우선 장기와 조직기증의뢰접수를 위한 콜센터가 통합돼 '장기·조직 통합정보센터(1577-1458)'로 운영된다. 한국인체조직기증원에서 한국장기기증원으로 인력을 파견해 통합정보센터에서 합동근무하면서 장기와 조직기증 가능여부에 따라 해당 기관으로 연계할 예정이다.
유가족 상담체계도 개선된다. 장기와 조직기증에 대한 효율적인 상담체계를 마련하기 위해 시범사업이 실시된다. 장기구득기관으로 장기-조직 기증상담을 일원화하거나 장기-조직 코디네이터가 동시에 상담하는 시범사업을 실시하여 유가족이 불편함 없이 기증상담을 받을 수 있도록 상담체계를 개선할 계획이다. 기존에는 현행법 상 장기와 인체조직에 대한 관리체계가 분리돼 있어 장기와 인체조직을 동시에 기증할 경우 각 기관의 코디네이터와 별도로 상담을 해야 하므로 유가족의 불편이 있었다.
또한 양 기관과 의료기관이 장기와 인체조직 기증 활성화 방안에 대해 함께 논의하기 위해 뇌사장기기증증진프로그램(DIP) 공동운영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프로그램의 공동운영을 통해 장기와 조직기증에 대한 의료기관의 관심과 협조를 유도하고 프로그램 운영을 통한 의료진 교육 및 의료기관 대상 홍보도 공동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의료기관에서 장기기증 뿐만 아니라 조직기증에 대한 인식을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대상 의료기관(13개 기관)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아울러 양 기관이 별도로 운영하고 있는 3개의 지역사무소를 광주사무소로 통합 운영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동일 지역 내 근무하고 있는 실무자 간 교류가 증가하여 정보 공유와 협력을 통해 업무에 대한 이해도를 제고하고 장기-인체조직 통합관리기관 출범에 앞서 양 기관 실무자 간 친밀도를 높이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복지부 관계자는 "올 상반기에는 장기-조직 분야의 전문가 의견수렴, 기증 관련기관 논의 등을 통해 장기-인체조직 통합관리법안 제정을 추진해 장기-인체조직 통합구득기관 설립을 위한 토대를 체계적으로 마련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hsk@fnnews.com 홍석근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