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3 총선을 사흘 앞두고 각 정당이 사활을 걸고 막판 표심 잡기에 나섰다. 사전투표 효과 등으로 지난 총선에 비해 투표율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는 등 선거 열기도 뜨거워지고 있다. 이에 여야의 의석수뿐만 아니라 야권 맹주 대결 결과와 대구지역의 무소속 후보들의 성적표에 관심이 집중될 것으로 전망된다. 아울러 총선 후 벌어질 각 당 내 계파갈등을 비롯한 후폭풍에 쏠린 눈도 적잖다.
10일 정치권에 따르면 이번 선거에서 여야와 유권자들의 이목이 △새누리당 180석 확보 등 수도권 성적표 △더불어민주당·국민의당 야권 맹주 대결 △대구지역 무소속 후보들의 '백색 돌풍'과 복당 △총선 후폭풍, 조기 전당대회 개최 등이 주요 관전 포인트로 꼽힌다.
이번 총선에선 야권이 분열되면서 여당에 유리한 지형이 형성됐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특히 지난 총선에서 야권 단일화에도 불구 박빙 승부가 많이 벌어졌던 수도권에선 여당이 야권 분열에 힘입어 선전할 것이란 정치권 안팎의 전망이 우세하다.
일각에선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당초 주장했던 180석 목표 달성도 점쳐진다. 텃밭인 영남지역에서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수성이 확실하고, 충청과 강원 지역의 상당수가 여당 우세 지역으로 분류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새누리당의 180석 목표 달성 여부는 수도권 성적표에 따라 결정될 것으로 전망된다. 수도권은 전체 지역구 의석 153석 가운데 총 122석이 걸려 있다. 비중이 큰데다 대부분 여야 후보 간 접전 지역이므로 전체 선거 결과와 직결된다.
더불어민주당 측은 야권 분열로 인해 전체 수도권 지역 가운데 3분의 1에 해당하는 박빙 지역에서 승리를 장담할 수 없을 것으로 내다봤다. 지난 총선에선 박빙 지역의 80% 가까이 승리를 거뒀지만 이번 선거에선 야당 표가 분산돼 높은 승률을 거두기 어렵다는 것이다.
다만 새누리당은 방심할 수 없다는 분위기다. 공천 과정에서 불거졌던 '옥새 파동' 등 계파 갈등으로 지지층이 이탈했다는 분석도 있어 개표 전까진 예단하기 어렵다는 주장이다.
야권이 지난 2004년 17대 총선이후 12년 만에 갈라지면서 야권의 맹주 자리를 두고 치러진 더민주와 국민의당의 대결도 주요 관심사다. 전통적인 야당 텃밭이 호남 지역의 판세는 선거 시작부터 마지막까지 이번 총선의 최대 화두였다.
호남 지역의 승패는 야권의 정통성 문제와 함께 향후 치러질 대선 과정에서 큰 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된다. 호남의 지지 없이는 야권의 대권후보가 될 수 없다는 공감대에 양당이 사생결단의 승부를 펼쳤다.
더민주와 국민의당이 내걸은 목표 의석도 호남의 성적표에 따라 엇갈릴 것으로 관측된다. 107석을 마지노선으로 제시한 더민주로선 수도권의 열세를 만회하기 위해선 호남의 지지가 반드시 필요한 상황이다. 국민의당은 교섭단체 구성을 위한 20석 이상의 의석을 확보하려면 호남에서 절반 이상 승리를 거둬야만 가능하다.
새누리당의 공천 과정에서배제돼 탈당과 함께 무소속으로 출마한 후보들의 국회 입성 여부도 지켜볼 대목이다. 대구 동구을에 출마한 유승민 후보를 비롯해 권은희(대구 북구갑), 류성걸(대구 동구갑), 조해진(경남 밀양·의령·함안·창녕) 후보 등 비박(비박근혜)계 무소속 후보들과 윤상현(인천 남구을) 후보 등 친박(친박근혜)계 후보들이 얼마나 돌아오느냐에 따라 여권의 권력 지형이 요동칠 가능성이 있다.
아울러 총선 후 각 당에선 승패에 따라 책임론이 불거지는 등 후폭풍이 거셀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른 새로운 지도부를 뽑기 위한 조기 전당대회 개최요구를 비롯해 여야를 막론하고 계파 갈등이 극심할 것으로 전망된다. 20대 국회 첫 원내대표 선거도 계파 간 이해관계가 달려 있어 어느 때보다 치열하게 전개될 것으로 관측된다.
gmin@fnnews.com 조지민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