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

[fn이사람] '새한국의 비전' 초대 원장 맡은 박형준 국회 사무총장

"새 정치질서 이끌어 낼 플랫폼 만들 것"

[fn이사람] '새한국의 비전' 초대 원장 맡은 박형준 국회 사무총장

"중도지형 정치세력의 잠재력은 크다. 중도 지형에서 '빅 텐트'를 만들 수 있다. 내년 대선은 카리스마적인 후보들의 경쟁이 아닌 가치와 비전을 중심으로 한 세력 간 경쟁 구도로 치러질 것이다."

박형준 국회 사무총장(사진)은 중도 세력을 결집하는 정계 개편의 가능성을 높게 전망하면서 새로운 정치질서 구현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박 사무총장은 6일 인터뷰에서 "중도지형 정치세력의 잠재적 지지기반은 넓다. (정치권의) 창조적 분화와 연대가 이뤄지고, 통합 지향적으로 향하면 중간으로 수렴하게 될 것"이라며 "통합을 지향한다면 중도지형이 커져야 한다. 통합의 정치는 중도의 지형을 넓게 펼치는 것에서 출발한다"고 강조했다.

또 박 사무총장은 계층과 세대를 구분할 것 없이 국민 마음속에 희망이 아닌 불안(anxiety)이 자리 잡고 있는 현 상황을 변화와 개혁을 통해 반드시 해결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그는 "불안은 삶의 조화와 균형이 깨져서 온다. 시대 고민은 국민의 불안을 걷어내고 희망의 원리가 어떻게 작동하도록 만드느냐, 미래를 향한 에너지를 어떻게 새롭게 구축하느냐가 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특히 박 사무총장은 5년 단임 대통령제와 성장제일주의로 대변되는 이른바 '87년 체제'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지적했다. 87년 체제가 효과적으로 작동하지 않으면서 민주적 발전국가 모델의 한계를 여지없이 드러내고 있다는 것.

박 사무총장은 "경제적으로도 87년 체제의 효용성이 다했다. 고도성장의 시대는 이미 끝났다. 성장제일주의로 인해 국민들의 삶의 질이 양극화됐다"며 "경제 구조와 체제를 바꿔 추격형이 아닌 개척형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향후 경제·정치 분야의 개혁 과제와 관련해 박 사무총장은 "중장기적인 시각을 가지고 구조를 바꾸는 데 초점을 둬야 한다"면서 "양적성장 중심 성장제일주의가 아닌 포용적 성장, 단순 시혜적인 복지가 아니라 삶의 질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 등 국가 경영 방식을 바꿔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20대 국회 개원과 함께 퇴임을 앞두고 있는 박 사무총장은 정의화 전 국회의장이 주도해 만든 싱크탱크인 '새한국의 비전'의 초대 원장을 맡았다. 새로운 정치질서 구현과 개혁 과제의 합리적인 실행을 위한 촉진제 역할의 플랫폼을 만들겠다는 것이 그의 계획이다.

박 사무총장은 "(한국 정치가) 지식의 정치로 바뀌어야 한다. 현재 정당들은 제대로 된 싱크탱크가 없어 지적인 또는 전략적인 지원을 하는 조직이 탄탄하지 못하다"면서 "인식 수준이 상당히 협소할 수밖에 없어 매번 터지는 쟁점을 가지고 싸우기 바쁘고, 미래를 보고 체계적이면서 깊이 있는 대안을 준비하는 데 약하다"고 꼬집었다.

그는 싱크탱크가 신당 창당 준비단계라는 관측에 대해선 선을 그으면서도 "준비하는 개혁, 미래 변화 전략들이 합당한 정치세력과 새로운 정치질서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며 "올해 하반기에 정치적 유동성이 커져 변화가 있을 것이다. 한계를 뛰어넘을 수 있도록 정치적 상상력을 더욱 창조적으로 발휘할 생각"이라고 여운을 남겼다.

아울러 박 사무총장은 "여야 3당은 민의를 담아내기엔 온전하지 못한 반쪽짜리 정당"이라며 "새누리당은 영남 중심의 보수정당이고, 국민의당은 호남을 기반으로 한다. 더불어민주당은 반사이익을 통해 제1당이 됐다"고 여야 3당을 향해 쓴소리를 던졌다.


그는 여야가 제시하고 있는 경제 어젠다에 대해서도 "시대 문제는 포착하고 있지만 어떻게 실행하고, 구체화할 것인가에 대해선 균형 잡힌 대안들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선거용으로 만들다 보니 앞뒤가 안 맞는 것들도 많다"면서 "포퓰리즘과 관성적인 틀에 빠지지 않으면서 균형감을 가진 정책을 제시해야 한다"며 균형감이 부족하다고 비판했다.

그는 20대 국회에서의 3당 체제 지속 가능성에 대해선 "다당제로 가야 연합의 정치가 가능하다"면서 "4.13 총선이 담고 있는 역사적인 의미는 적대적 관계의 정치질서를 깨야 한다는 국민들의 메시지"라고 답했다.

gmin@fnnews.com 조지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