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과학 >

변이형 협심증으로 인한 돌연사, 삽입형 제세동기로 예방해야


변이형 협심증으로 인한 돌연사, 삽입형 제세동기로 예방해야
안정민 교수
삽입형 제세동기 치료가 변이형 협심증 환자의 돌연사로 인한 사망률을 줄이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변이형 협심증은 동맥경화로 인해 심장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히는 일반적인 협심증과는 달리 심장혈관 자체에 경련이 일어나 심장근육에 혈액 공급이 안 되는 질환이다. 주로 우리나라와 일본 등 동양인에 많은 변이형 협심증은 약물복용만으로도 치료가 잘 되지만 일부 환자들은 돌연사에 이른다.

서울아산병원 심장내과 박승정·안정민 교수팀은 1996년부터 2014년까지 18년간 전국의 13개 병원 변이형 협심증 환자 2032명 중 심장마비가 왔지만 심폐소생술로 살아난 환자 188명과 심장마비가 전혀 없었던 일반적인 변이형 협심증 환자 1844명을 비교했다.

그 결과 심장마비가 있었던 변이형 협심증 환자의 사망률은 18.9%에 달했지만, 일반적인 변이형 협심증 환자의 사망률은 8.5%로 나타나 심장마비를 경험한 변이형 협심증 환자의 사망률이 2배 이상 높았다고 17일 밝혔다.

특히 심장마비를 경험한 변이형 협심증 환자 188명 중 심장마비 후 자동 제세동기를 삽입한 환자와 제세동기를 삽입하지 않고 약물치료만 받은 환자를 비교한 결과, 제세동기를 삽입한 환자에서 사망률이 4분의 1 정도 낮았다.

이번 연구는 심장마비를 경험한 변이형 협심증 환자일 경우 약물치료와 더불어 삽입형 자동 제세동기 치료가 필요할 수 있음을 입증한 것이다.

삽입형 자동 제세동기는 심각한 부정맥이 있는 환자에서 심장 부근에 기계를 삽입하고 전선을 심장에 연결해 부정맥 발생 시 자동으로 전기충격을 가하는 장치다. 하지만 심장마비를 경험한 변이형 협심증 환자에게 약물치료만 진행할지 삽입형 제세동기 치료까지 동반할 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심장마비를 경험한 변이형 협심증 환자 188명 중 24명만 자동 제세동기를 삽입했다. 이 환자들의 사망률은 4.3%였지만 제세동기 치료 없이 약물치료만을 시행한 환자의 사망률은 19.3%로 나타났다.

특히 심장마비를 경험한 변이형 협심증 환자들 188명 중 22%는 심장정지 후 사망 위험이 높은 악성 부정맥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나이가 젊거나 여러 혈관에 경련이 나타나거나 좌전하행지의 경련 등이 동반되었을 경우 심장마비와 연관이 깊은 것으로 나타났다.

안정민 서울아산병원 심장내과 교수는 "급성 심장마비의 경험이 있는 변이형 협심증 환자의 경우, 약물치료와 더불어 제세동기를 삽입하는 것이 환자의 사망률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향후 임상연구를 통해 변이형 협심증 환자의 제세동기의 효용성을 평가하여 표준화된 치료방침을 세울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전 세계 심장학 분야 저널인 미국심장학회지(JACC, IF=16.503) 최신호에 게재됐다.

pompom@fnnews.com 정명진 의학전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