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

"정치적 소수자 청년 목소리 높여야" 조성은 국민의당 청년몫 비대위원

"정치적 소수자 청년 목소리 높여야" 조성은 국민의당 청년몫 비대위원


"청년도 정치의 주체입니다. 배려 차원에서 한두 자리 내준다는 식의 접근은 옳지 않아요. 정당에서 권한을 가지고 제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청년 정치인이 적어도 지금보다는 많아야 합니다."

지난 12일 국회에서 만난 국민의당 조성은 비상대책위원(28.사진)은 한마디로 '청년 정치 스타'보다는 '수많은 청년 정치인 중 하나'를 꿈꾸는 사람이었다. 청년을 언제까지 정치적 소수자로 봐야 하느냐는 게 그의 불만 섞인 토로였다.

조 위원은 국민의당 비대위 출범 당시 가장 주목받은 인물이다. 이준서 위원과 함께 청년몫 비대위원 자리를 꿰찼다. 천정배 전 대표의 추천으로 비대위에 합류한 조 위원은 "숨기지 않고 당에 쓴소리 할 '파이터'가 필요했던 게 아니겠느냐"며 웃었다. 공천관리위원으로 총선을 치른 뒤 당에서 어떤 역할을 해야 할지 고민하던 찰나 그에게는 좋은 기회였다.

조 위원이 정치판에 뛰어든 건 2014년이었다. 디자인 분야 스타트업(창업초기기업)을 운영하던 중 박원순 서울시장 후보 캠프에 합류한 게 계기가 됐다. 그러나 정치는 언제나 '익숙한 것'이었다는 게 조 위원의 설명이다. 그는 "우리 사회의 사소한 것부터 다 정치의 영역이 아니냐"면서 "어릴 때부터 아버지와 뉴스를 보며 사회 이슈에 대해 자연스레 이야기를 나눴고, 그게 내게는 놀이 같았다"고 전했다. 청년과 정치가 어딘가 어색한 조합으로 느껴지는 것과는 사뭇 달랐다.

그렇다면 청년과 정치가 어색하게 느껴지는 이유는 뭘까. 조 위원은 우리가 정치를 너무 어렵게 생각하고 또 너무 어렵게 가르치고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청년이 옆집을 드나들 듯 친숙하게 정치를 접할 수 있도록 정당들이 문을 열었는가 되짚어보면 개방은커녕 다가오려는 노력조차 하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꼬집었다.

기성 정치권이 청년을 바라보는 시선도 거둬야 할 때라는 게 조 위원의 생각이다. 그는 "그들에게 청년은 표(票)이고, 청년 문제는 곧 일자리"라며 "청년의 삶 속에 얼마나 많은 어젠다가 있는데 단순히 일자리로만 집단을 규정하느냐"고 하소연했다. 청년의 문제를 청년 스스로 찾아 해결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진단이다. 당내 청년위원회 명칭을 미래세대위원회(가칭)로 바꾸려는 것도 청년세대의 다양한 문제를 담아내기 위한 시도의 일환이다.

조 위원은 청년의 적극적인 정치참여를 위해 청년위의 자율성이 보장돼야 한다고 주문했다.
정당이 청년위에 국고보조금을 배정해야 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그는 "운영예산이 없다는 건 당이 톱다운 방식으로 주문하는 일을 할 수밖에 없다는 의미"라며 "예산이 있어야 주도적 정치활동도 가능하다. 땅(예산)을 줘야 거기에서 농사를 지으면서 훌륭한 정치인으로 커갈 수 있지 않겠느냐"고 강조했다.

ehkim@fnnews.com 김은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