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

軍 ‘北지휘부 제거 임무’ 특수헬기 도입

지형탐색 레이더 탑재.. 은밀한 공중침투 가능
MH - 47급 도입 추진

軍 ‘北지휘부 제거 임무’ 특수헬기 도입
패스트 로프 훈련중인 미 육군 MH-47 헬기. MH-47 헬기는 특수작전 부대원의 은밀 침투에 최적화된 헬기다.

육군이 유사시 북한의 전쟁지휘본부 제거 임무를 수행하는 특수전사령부의 작전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지형탐색 레이더를 갖춘 MH-47급 헬기를 도입할 전망이다.

육군본부는 12일 육.해.공군 본부가 위치한 충남 계룡대에서 열린 국회 국방위원회 국정감사 업무보고자료를 통해 "한국군의 독자적인 특수작전 수행능력을 구비할 것"이라며 "MH급 헬기 등 공중침투자산, 소형위성통신장비, 특수작전용 기관총 등을 확보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지형탐색 레이더 갖춘 MH-47급 특수작전용 헬기 도입

현재 우리 군은 적지에 은밀히 특수작전부대를 침투시킬 항공전력이 없어 미군에 의존하고 있다는 지적을 받아 왔다.

장준규 육군총장은 이날 국정감사 질의답변을 통해 "육군에서 추진 중인 주요 전력 중 하나가 특수전 수행 전력"이라면서 "침투에서 임무 수행, 복귀까지 전반적인 작전 완전성을 최적화하는 데 관심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육군이 도입할 MH급 헬기는 주한미군에서 운용 중인 특수작전용 헬기인 MH-47과 유사한 기종이다.

이 기종은 공중급유장치와 적진지형을 자동으로 탐색하는 레이더를 탑재해 주.야간 악천후 기상에도 특수전 병력 40여명을 적진 600여㎞까지 깊숙이 침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것으로 알려졌다.

■특수작전항공부대 편성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백승주 의원은 이날 특수전력 확보 시기와 관련해 "2017년에서 2018년까지 확보하는 것으로 보고받았다"면서 "최대한 빨리 소요 예산을 반영해야 할 것"이라고 육군에 당부했다.

같은 당 김학용 의원은 "특전사의 주력 공중침투 자산인 MC-130과 MH헬기 등은 모두 미군 자산이다. 우리 군의 독자적인 임무수행에 제한이 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김 의원은 "최근 악화되고 있는 안보상황을 고려하면 유사시 한국군의 독자적인 공중침투능력 확보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육군 특수전사령부는 국감 업무보고자료에서 "은밀한 침투가 가능한 항공전력 확보를 위한 특수작전항공부대 편성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전략적 특수임무 수행을 위한 특수작전부대 편성도 추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captinm@fnnews.com 문형철 기자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