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

[한국형 지진대응체제 구축 시급] "지자체가 컨소시엄 구성, 경보시스템 만들어야"

패널토의
한반도 대지진 가능성은 韓日 의견 엇갈려
"단층 연결 안돼있어 7.0이상 일어나기 힘들어"
"전조 없는 지진 빈번..한반도도 안심할수 없다"

[한국형 지진대응체제 구축 시급] "지자체가 컨소시엄 구성, 경보시스템 만들어야"
파이낸셜뉴스와 부산파이낸셜뉴스 주최로 지난 4일 부산 문현동 부산국제금융센터(BIFC) 캠코마루에서 열린 '한국형 지진대응체제 구축 시급하다' 주제의 2016 FN 긴급진단포럼에서 강태섭 부경대 교수를 좌장으로 가사하라 준조 도쿄대 명예교수, 지헌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박사, 유인창 경북대 지구시스템과학부 교수(왼쪽부터)가 패널토의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서동일 기자

【 부산=특별취재팀】 한국과 일본 지질학자 사이에서 한반도에서 대형 지진의 발생 가능성을 두고 의견이 팽팽하게 맞섰다. 단 전문가들은 한반도가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점에 대해서는 의견이 일치했다.

'체질 바뀐 한반도, 지진 예측은?'이란 주제로 진행된 패널토의에서 강태섭 부경대 교수를 좌장으로 유인창 경북대 교수가 초청 패널로 참석해 기조연설을 한 가사하라 준조 도쿄대 명예교수, 지헌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박사와 함께 의견을 나눴다.

지 박사는 한반도에서 대규모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선을 그었다. 그는 "동일본 대지진 이후 한반도 지질이 팽창하는 과정에서 압축돼 있던 에너지가 단층운동을 통해 사라지는데, 이런 단층운동 해소 과정에서 지진이 최근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된다"며 "한반도는 단층들이 서로 연결돼 있지 않은 구조여서 이런 현상이 규모 7.0 이상의 대지진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매우 작다"고 주장했다.

반면 가사하라 교수는 최근 세계적으로 지진이 일정한 패턴 없이 무작위로 발생하는 것에 비춰볼 때 한국도 대지진 발생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최근 지진은 전조도 없이 전혀 예상치 못한 곳에서 갑자기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면서 "일본도 이에 대해 명확한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있고, 현재의 과학기술로 지진을 정확히 예측할 수 없다는 점에서 한국에 대규모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은 상존한다"고 경고했다.

지진 피해도 한국이 더 클 수 있다고 지적했다.

가사하라 교수는 "한반도 지진의 특성은 일본 지진보다 진원(지구 내부의 지진 최초 발생 지역)과 지표 거리가 매우 가깝다는 것"이라며 "같은 규모의 지진이라면 피해는 한국이 더 클 수 있다"고 우려했다.

지진에 따른 지진해일(쓰나미) 발생에 대해서도 두 패널의 의견이 갈렸다. 가사하라 교수는 "한국에 지진이 발생하고 그로 인한 쓰나미가 발생할지 여부는 누구도 알 수 없다"면서도 "피해가 엄청났던 일본의 쓰나미가 하나의 영역이 파괴되는 게 아니라 옆부분이 함께 파괴하는 경향을 보이면서 위력이 커졌듯이 일본과 마주한 한국 동해안은 지진이 발생하면 내륙으로 쓰나미가 밀려올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지 박사는 한국의 쓰나미 발생 가능성은 제로에 가깝다고 정면 반박했다.

그는 "개인적인 견해로 국내에서 지진에 따른 쓰나미는 없을 것"이라며 "지진이 자주 발생하는 울산 앞바다나 남해안, 서해안 등은 모두 수심이 얕아 지진이 발생하더라도 내륙에 닿기 전에 쓰나미가 사라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전문가들은 이처럼 대지진 발생 가능성에 대해서는 견해가 엇갈렸지만 지진 피해 예방에는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한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유 교수는 "우리나라에선 영남 지방에서 지진이 자주 발생하는데 중앙정부가 아닌 관련 지역자치단체가 컨소시엄을 구성해 조기경보 시스템을 시급히 확보해야 한다"면서 "아울러 지진에 관한 연구도 중요하지만 그에 앞서 한반도 지질을 철저히 조사하고 이를 위한 조사인력 확충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강 교수도 "지진을 정확하게 예보할 수 없더라도 미연에 방지하면 피해를 줄일 수 있다는 건 모두가 공감하는 사실"이라며 "국민들이 안전과 관련해 정부에 대해 불안감을 갖고 있는 만큼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특별취재팀 권병석 김기열 강수련 이병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