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병용 다목적 무인차량 개념도 /사진=방위사업청
감시 정찰 및 근접전투, 물자 수송이 가능한 '보병용 다목적 무인차량'이 개발된다.
방위사업청은 26일 올해부터 2019년까지 3년간 총 사업비 약 39억원을 들여, △전·평시 감시정찰 △수색 및 근접전투 △무거운 전투물자 및 환자 수송 등의 임무가 가능한 보병용 다목적 무인차량 개발을 착수한다고 밝혔다.
방사청에 따르면 올해부터 2019년까지 3년간 정부 예산 22억원, 민간예산 17억원이 투입되는 이번 사업은 한화테크윈(주)과 공동 개발로 이뤄진다.
무인차량은 민간에서도 기술개발이 이뤄지고 있지만, 군사용 무인차량은 민간기술과 달리 도로 등의 기반 시설이 없거나 들판 또는 험한 지형 등에서 원격으로 기동할 수 있는 자율주행 기술이 적용된다.
보병용 다목적 무인차량은 1.5톤 이하의 경량화된 장비로 다양한 임무가 가능하도록 모듈화로 설계될 예정이다.
전투모드 시에는 탑재된 감시장비와 센서, 무인기 등을 활용해 다양한 작전지형에서 적 위치 및 규모 등의 정보를 수집하고 장착된 화기의 원격통제 등으로 근접전투 임무를 수행한다.
또 지원모드 시에는 일부 장비를 탈거하고 물자/환자 운반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여 보병 기동로 물자 수송이나 구급차 접근이 가능한 지역까지 환자 운반 임무를 수행할 계획이다.
방사청 계획운영부장 유해일(육군 준장)은 "보병용 다목적 무인차량의 운용개념과 요구성능이 정립된다면, 빠른 시일내에 군으로부터 관련 소요가 창출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향후 소요가 예상되는 무인수송로봇 등의 다양한 무인체계 개발에 기술과 운용개념 등이 환류되어 지상 무기체계 무인화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
captinm@fnnews.com 문형철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