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

민주당 '완전국민경선제' 실시키로... 박원순 김부겸 '반발'

더불어민주당이 완전국민경선을 통해 대통령 후보를 선출한다. 참여를 원하는 국민은 누구나 경선에 참여시킨다는 계획이다. 비문(비문재인)측에서 요구해온 결선투표제도 도입하며, 'ARS투표검증단'을 설치해 투명성 논란 등을 사전에 방지한다는 방침이다. 다만, 당내 일부 후보들이 주장한 '야권공동경선' 등이 반영되지 않아 갈등의 불씨는 여전하다.

민주당 당헌당규강력정책위원회는 24일 회의를 열고 '19대 대통령후보자 선출규정안'을 최종 의결했다.

경선 방식은 '국민 누구나 동등한 권한을 가지고 대선후보를 선출할 수 있게 한다'는 목표에 따라 '완전국민경선'을 실시한다. '완전국민경선'은 권리당원과 일반 국민을 구분하지 않고 투표에 참여시키는 방식으로, 권리당원 투표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국민참여경선'과 구별된다.

원하는 국민들은 전화(콜센터), 인터넷, 현장서류 신청 등을 통해 선거인단으로 참여할 수 있다. 모집은 탄핵 전후로 2차례에 나눠 진행된다.

양승조 당헌당규위 위원장은 예상선거인단 수와 관련, "정권교체 가능성과 열망으로 볼때 150만명에서 200만명 정도 가능하지 않을까 싶다"고 예상했다.

선거인단의 투표방법은 전국순회투표, 투표소투표, ARS투표(모바일투표), 인터넷투표로 이뤄지며 투표방법에 상관없이 1인 1표로 인정된다.

ARS투표의 투명성 및 안정성 확보를 위한 'ARS투표검증단'도 설치·운영한다. 검증단은 후보자가 추천하는 인사를 포함해 구성하고, 투표 모든 과정을 검증할 수 있다.

경쟁력 있는 후보자 선출을 위해 문호는 적극 개방키로 했다. 예비후보 경선기탁금의 하향 조정(5000만원)도 이 때문이다. 도입여부에 관심이 쏠렸던 결선투표제도 최종 포함됐다. 결선투표제는 1차 투표에서 최대득표자의 득표율이 과반 미달시 1,2위 후보자를 대상으로 재투표를 실시하는 것을 말한다.

이날 당헌당규위를 통과한 경선룰은 최고위원회과 당무위원회를 거쳐 최종 확정된다.
하지만 '야권공동경선'과 '공동정부 구성'을 주장해온 박원순 서울시장과 김부겸 의원 등이 반발하고 있어 진통이 예상된다.

박 시장측은 "주자들의 합의 없이 당이 일방적으로 경선규칙을 확정한 점은 매우 유감스럽다"며 "지금은 당 지도부가 공동정부에 대한 의지를 밝히는 것이 우선"이라고 지적했다. 김 의원측도 "집권후 가장 안정적인 국정운영을 하기 위해서는 야권이 합심해 공동정부를 구성하는 것 밖에 없다"고 강조한 뒤 "최고위원회가 결정을 재고해주기 바란다"고 요구했다. fnkhy@fnnews.com 김호연 김은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