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심각한 환경오염 문제를 겪고 있는 안동댐 상류를 정화하기 위해 7개 정부 부처가 포함된 민관 환경협의체를 구성, 향후 5년간 운영키로 했다. 정부는 성과를 살펴본 뒤 다른 환경오염 지역에도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할 방침이다. 문재인정부의 환경정책을 가늠할 바로미터가 될 것으로 보인다.
환경부, 산업통상자원부,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 국토교통부, 식품의약품안전처, 산림청 등 7개 부처는 대학.시민사회단체 등과 안동댐 상류 환경관리 협의회를 구성하고 안동댐 상류 오염원 근원적 차단, 환경복원, 상시 모니터링 체계 구축 등을 담은 5개년 로드맵을 수립했다고 2일 밝혔다.
안동호는 올해 7월 퇴적물에서 카드뮴(Cd)이 검출돼 전국 유일 '매우 나쁨' 평가를 받았고 안동호 상류의 영풍석포제련소 주변 토양.하천은 중금속이 환경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드러나기도 했다. 카드뮴은 독성이 강한 금속으로 이타이이타이병을 일으키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일본에서 처음 발견된 이타이이타이병에 걸리면 뼈가 물러져 조금만 움직여도 골절이 일어나서 환자가 '아프다, 아프다(일본말로 이타이, 이타이)'라고 신음했기 때문에 붙여졌다. 안동호는 영남지역 1300만명의 식수로 사용된다.
환경부 등 정부 부처는 이에 따라 우선 통합환경관리제도를 적용해 석포제련소에 대한 재허가 여부를 결정키로 했다. 환경에 중대한 영향이 우려될 경우 이를 방지할 수 있는 최상의 배출기준과 허가조건을 반영한다는 계획이다.
또 안동호 상류 낙동강 양안에 유실돼 있는 광물 찌꺼기는 친환경 매립하는 등 광해방지사업을 도입한다. 안동호 상류의 휴.폐광산 33곳은 토양개량복원, 광물 찌꺼기 유실방지, 오염수질 개선 등을 추진한다.
아울러 하천과 수저퇴적물은 민관 공동으로 내년에 오염원 추적 등 정밀조사에 착수하고 어류·왜가리 등 집단 폐사한 동식물의 원인을 밝히기 위해 서식실태.환경 조사를 벌인다. 물속에 살고 있는 다슬기 등 생물종 현황과 체내 중금속 농도 등에 대한 모니터링도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안동호 주변 농.수산물 역시 중금속 함량을 조사한다. 기준을 초과할 경우 수거해 폐기 절차를 밟는다.
환경부 관계자는 "5개년 대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민관 협치 기구를 설치.운영하고 공동조사, 공개 심층토론 등을 통해 상호 불신과 정보 격차를 해소할 것"이라며 "지역주민 건강피해와 환경오염문제를 서둘러 해결하겠다"고 약속했다.
jjw@fnnews.com 정지우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