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당은 26일 내년도 예산안에서 중증외상센터 지원 금액을 늘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철근 국민의당 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중증외상 환자는 매년 10만 명 이상 생겨나고 있지만, 진료체계는 매우 취약해 정책 변화가 반드시 필요하다"면서 이 같이 밝혔다.
김 대변인은 "기획재정부는 기존 예산에서 불용액이 100억여 원 정도 있다는 점을 들어 증액을 승인하지 않았다고 한다"면서 "하지만 이는 지원이 없어 의사를 채용하지 못해서 생긴 것"이라고 덧붙였다.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 역시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우리가 '미드'에서 보는 것처럼 선진국에서는 크게 다친 사람들 대부분이 골든타임 1시간 이내에 번개처럼 이송돼 수술을 받는다"면서 "그런데 우리나라에서는 중증외상센터에 늦게 도착해 사망하는 분이 연간 1만 명에 이른다"라고 지적했다.
안 대표는 이어 "중증외상은 산업재해, 교통사고, 군대 사고 등이 주요 원인"이라면서 "가장 고되고 열심히 일하는 근로자, 청년, 젊은 가장, 병사들이 1분 1초만 빨리 수술대에 올라도 살아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외상센터 시스템 개선은 우리 사회의 공정성을 개선하는 일"이라며 "민간이 나서기 어려운 중증외상센터 같은 곳에 예산을 써야 한다"고 촉구했다.
golee@fnnews.com 이태희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