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

중국, 한중정상회담서 경제교류 '실리외교' 추구하나

【베이징=조창원 특파원】 한중정상회담 일정이 확정되면서 중국의 외교 접근방식 변화 여부가 주목된다.

중국이 사드(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에 대해 '현 상태 유지' 입장을 밝혔다는 점에서 사드 및 대북관계 등 외교안보 문제와 경제 문화교류를 별도 관리하는 투트렉방식을 추구할 것이란 전망이다.

6일 신화통신에 따르면 루캉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초청으로 문재인 대통령이 13일부터 16일까지 국빈 방문을 진행하게 된다"고 말했다.

양국 정상회담 일정이 최종 확정된 가운데 중국이 이번 회담을 실리외교의 기반으로 삼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지난 5일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신임장 제정식에서 문재인 대통령의 최측근인 노영민 주중 한국대사를 만난 자리에서 "문재인 대통령의 방중과 이를 계기로 한 회담을 기대하고 있으며, 회담을 통해 한중 관계 발전 문제를 비롯한 양국의 공통 관심사에 대해 깊이 있는 의견을 교환하고 많은 공동 인식에 도달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말한 바 있다.

외교안보 문제 관련해선 사드배치와 대북문제가 핵심 의제로 꼽힌다. 이와 관련 양국은 이번 정상회담에서 미래지향적 대화에 무게중심을 두기로 했다는 점에서 사드 문제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은 자제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대북문제가 한반도 평화안정의 최대 난제라는 점에서 밀도깊은 대화가 예상된다. 대북문제 역시 미국과 일본의 강경론이 겹쳐 있어 한중간 공통인식과 해법을 마련하는 데 어려움이 놓여 있다.

그러나 경제 및 문화 교류 부문에 대해서는 미래지향적 논의가 전개될 공산이 크다는 지적이다. 중국 입장에서도 사드갈등으로 꽉 막혔던 경제와 문화 교류의 물꼬가 트일 경우 자국 이익에도 도움이 된다는 점에서 실리외교를 꾀할 것이란 이유에서다.

이미 한국단체관광 금지가 한중정상회담에 앞서 서서히 풀리고 있는 가운데 중국의 일대일로 정책에 대한 한국의 참여와 한중 자유무역협정(FTA)의 2차 논의가 이번 회담에서 중점적으로 다뤄질 전망이다. 중국 입장에서도 일대일로 정책이 일부 국가에서 난관에 봉착하고 있다.
일대일로의 성과 달성을 위해 한국과 일본의 참여가 중국 입장에서도 절실하기 때문이다. 한중FTA의 경우 양자 FTA를 다수 체결한 한국과 달리 중국의 경우 FTA 체결이 미약한 편이다.

중국 모 협회 관계자는 "다수 FTA를 체결한 한국의 무역개방이 넓은 반면 중국은 이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면서 "중국도 한중FTA를 적극 활용해 해외수출 발판을 늘릴 수 있다는 점에서 실리적 관점에서 관심이 많다"고 전했다.

jjack3@fnnews.com 조창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