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

美 정부, 워너크라이 사태 배후로 북한 공식 지목

美 정부, 워너크라이 사태 배후로 북한 공식 지목
미국 보안소프트업체 시만텍이 올해 5월 15일에 제공한 워너크라이 작동 화면. 워너크라이같은 랜섬웨어는 컴퓨터 파일을 사용자 허락없이 암호화 시키고 가상화폐같은 방식으로 금전을 요구한다.로이터연합뉴스


미국 정부가 지난 5월 전 세계 공공기관과 기업들을 공격했던 랜섬웨어인 ‘워너크라이’가 북한의 소행이라고 공식 확정했다.

토머스 보서트 미 백악관 국토안보보좌관은 18일(이하 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기고한 칼럼에서 북한을 워너크라이의 배후로 지목하고 미 정부차원에서 공식적으로 인정한 상태라고 밝혔다. 그는 "사이버이든 또 다른 종류이든 북한의 강화되는 공격 능력을 억제하기 위해 최대한의 압력 전략을 구사하겠다"고 밝혔다. 미 정부는 오는 19일에 성명을 내고 이 같은 입장을 발표할 예정이다.

워너크라이는 마이크로소프트(MS) 윈도 운영체제의 취약점을 겨냥한 랜섬웨어로, 감염된 파일을 풀려면 대가를 지불해야 한다.
지난 5월 시작된 워너크라이 공격으로 전 세계 150여 개국에서 23만 대 이상의 컴퓨터가 감염됐으며 특히 영국은 국민보건서비스(NHS) 등 의료체계가 마비됐다.

그동안 워너크라이 랜섬웨어 공격 배후로는 북한이 여러 차례 지목됐으나 미 정부가 이를 공식 인정한 것은 처음이다. 보서트 보좌관은 MS의 추적 결과 북한 정부와 연계된 사실을 확인했다는 점을 근거로 제시했다.

pjw@fnnews.com 박종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