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

"부산, 우수정책 수출화로 국제적 위상 제고해야"

- '교통운영시스템' '도시재생' '도시철도 운영 기술' 가능성 높아
- 우수정책 수출업무 전담 조직 설립 필요


부산시 정책 중 '교통운영시스템' '도시재생' '도시철도 운영 기술'이 해외 수출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우수정책의 해외 수출화를 통해 국제적 위상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우수정책 수출 업무를 전담할 수 있는 조직 설립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왔다.

부산발전연구원은 7일 이같은 조사 결과를 담은 '시정 우수정책 상품 수출화 방안' 연구 보고서를 발표하고 우수정책 수출 추진 방안을 제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부산지역 전문가 50명을 대상으로 '수출화 가능성이 높은 부산시 정책'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스마트카드, BRT(간선급행버스체계), 버스정보시스템, 환승제도 등 교통운영시스템이 20.9%로 1위에 선정됐다.

이어 산복도로 르네상스, 다복동, 마을지기 사무소 등 도시재생이 14.0%로 2위에, 경량철·경전철 등 도시철도 운영 기술이 11.6%로 3위에 각각 올랐다.

해양·항만 운영 개발, 스마트시티 구축, 수질 정화, 문화콘텐츠 활용 등도 수출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부산시의 우수정책 수출 추진 시 해외 수요 가능성에 대해서는 60%가 ‘높다’고 응답하고, 부산시 브랜드 제고와 관련기업 해외 진출 효과가 기대된다고 평가했다.

우수정책 수출 추진에서 예상되는 애로 요인으로는 ‘전담 기구 부재’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예산 지원의 어려움’ ‘전문 인력 부족’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정책 수출과 관련해 부산시 차원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점으로는 ‘정책 수출 전담 추진기구 설립’과 ‘우수정책 DB(데이터베이스) 구축, 정보시스템 마련’ ‘KOICA(한국국제협력단)·KOTRA(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와 공조’가 꼽혔다.

보고서를 작성한 윤지영 연구위원은 "서울시는 ‘서울시 정책수출사업단’을 설립해 개발도상국 도시를 중심으로 우수정책 발굴과 수출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며 “부산시도 우수정책 수출 업무를 전담할 수 있는 조직 설립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윤 연구위원은 “세계적으로 도시 간 교류가 활발하고 해외도시에서의 정책 공유 요청이 늘어나면서 우수정책을 수출해 수익을 내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며 “특히 부산시가 고도성장을 거치면서 성공적으로 일궈낸 정책 사례에 대한 자부심을 갖고 지속적인 신뢰감을 주기 위해서는 ‘메이드 인 부산’ 인증제를 도입해 적극적인 해외 마케팅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sr52@fnnews.com 강수련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