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외상센터 중환자실 간호 인력을 2배 확대해 전문의 인건비를 늘리는 한편 중증외상환자 이송을 건강보험 적용을 추진한다. 복건복지부와 소방청을 콘트롤 타워로 범부처 헬기 공동 활용체계도 확립한다.
이낙연 국무총리는 2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를 열고 북한군 귀순병사의 이송.수술 과정에서 확인된 하기 위한 3대 분야 27개 과제를 심의 확정했다. 이번 대책은 지난해 북한군 귀순병사의 이송.수술과정에서 확인된 중증외상 진료현장의 열악한 여건 개선을 요구하는 국민 청원이 제기된 것이 계기가 됐다.
이 국무총리는 "이번 대책은 미흡한 현실에 대한 뒤늦은 반성이자, 국민의 열화 같은 요구에 대한 실천적 응답"이라면서 "중증외상진료를 맡을 권역외상센터의 확충은 이제 더는 미룰 수 없는 절박한 과제"라고 말했다.
이어 "권역외상센터의 명실상부한 확충을 통해 대한민국은 생명의 위기에 처한 모든 사람이 최대한 가까운 시간에, 최대한 가까운 장소에서, 최대한 적절한 치료를 받아 생명을 지키는 나라로 발전해야 한다"며 "중증외상진료체계 개선방안이 차질 없이 실천되도록 보건복지부가 최선을 다하는 것은 물론, 다른 모든 관련부처도 아낌없이 협력해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정부는 환자가 적절한 응급처치를 받고 신속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병원 전 단계 환경을 개선하기로 했다. 의료진 근무여건 개선을 위해 전담전문의 1인당 지원금액을 1억2000만원에서 1억4400만원으로 20% 늘리고 지원대상 진료과목을 7개로(기존 5개) 확대한다. 또 중환자실 간호사 대 병상비율을 현재 1대 3 수준(운영기준, 중환자실 간호 2등급 수준)에서 중장기적으로 1대 1.5를 목표로 인건비를 지원한다. 운영기준을 초과하는 추가 채용 간호사 1인당 최대 4000만원을 지원한다.
이외 신속하고 적절한 응급처치를 위해 국민이 쉽게 따라할 수 있는 외상처치 매뉴얼을 마련, 연령대별 맞춤형 교육을 실시한다. 응급실 분포.도로망 등을 고려한 지역별 이송지침과 이송지도(Trauma map)를 마련하기로 했다. 의료.소방.군.경찰 헬기 등 정부부처가 보유하고 있는 헬기의 공동활용을 강화해 신속한 환자이송 기반을 구축한다.
박재찬 복지부 응급의료과 과장은 "기본적으로 사고발생시 낮에는 닥터헬기를 띄위고 야간에는 중대형 헬기인 소방청이나 해경 헬기를 띄우는 등 실효성있는 대책을 확립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이런 대책을 통해 국내 전체 예방가능 외상사망률을 2015년 30.5%에서 2025년 20%로 낮추고, 권역외상센터의 예방가능 외상사망률은 2015년 21.4%에서 2025년 10%로 떨어뜨리겠다는 목표다.
예방가능 외상사망률은 외상사망자 중 적절한 시간 내에 적절한 병원으로 이송되어 적절한 처치를 받았다면 살았을 것으로 생각되는 사망자 비율을 말한다.
spring@fnnews.com 이보미 이유범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