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

청소년 대학진학률 감소...대졸대비 고졸 취업자 임금 격차도 줄어


고등학교 졸업자 대학진학률, 취업률
(%)
구분 2009년 2011년 2014년 2017년
진학률 77.8 72.5 70.9 68.9
취업률 27.6 23.3 33.5 34.7
(통계청)


고등학교 졸업자의 대학진학률이 감소하고 있다. 반면 취업률은 소폭 상승하고 있다.

특성화고 및 산업수요 맞춤형고 학생들이 대학진학 대신 취업쪽으로 진로를 선택하는 비중이 증가하고 있는 게 주요 이유다.

또 대졸이상 대비 고졸 취업자의 임금 수준 격차가 해마다 줄어들고 있다.

통계청이 26일 발표한 '2018 청소년 통계'에 따르면 청소년 인구(9~24세)는 899만명으로 1982년 1420만 9000명에서 정점을 찍은 후 해마다 감소하고 있다. 올해 청소년 인구가 전체가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7.4%이지만 저출산, 고령화로 2060년에는 11.1%가 될 전망이다.

대학진학률 해마다 감소
지난해 고등학교 졸업 후 대학에 진학한 청소년의 비율은 68.9%였다. 1년 전보다 0.9%포인트 감소했다. 진학률은 2009년 77.8%로 최고점을 찍은 후 해마다 감소 추세에 있다. 반면 고교졸업 후 취업률은 34.7%로 1년 전보다 0.8% 포인트 늘었다. 통계청은 특성화고 학생들이 대학진학보다 취업을 선택해 이같은 추세가 나타났다고 해석했다.

고졸 취업자와 대졸이상 취업자의 임금수준 격차도 줄어들고 있다. 2016년 상용근로자 5인 이상 규모 사업체의 상용근로자 중 20~24세 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은 181만 9000원이다. 25~29세는 228만 2000원으로 전년보다 각각 3.2%, 2.9% 증가했다. 대졸이상 대비 고졸 임금수준은 20~24세가 92.6%로 전년보다 0.6%포인트 늘었다. 24~29세는 89%로 0.3% 증가했다.

청소년들이 가장 선호하는 직업은 국가기관, 공기업, 대기업 순으로 나타났다. 대기업 선호도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공기업, 외국계기업, 중소기업, 해외취업 선호도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청소년, 정치 참여에 관심 많아
청소년의 사망 원인은 자살이 가장 많았다. 자살은 인구 10만명 당 7.8명으로 2007년 이후 사망원인 1위이다. 지난해 청소년 4명 중 1명은 지난 1년간 2주 내내 일상생활을 중단할 정도로 슬프거나 절망감 등 우울감을 느낀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감을 경험한 비율은 여학생이 30.3%로 남학생(20.3%)보다, 고등학생이 26.4%로 중학생(23.5%)보다 각각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비만율은 17.3%로 1년 전보다 0.8%포인트 증가했다.

또 지난해 10대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위험군 비율은 30.3%로 2015년 이후 감소 추세에 있다. 다만 과의존위험군 중에서 고위험군 비율은 중학생이 3.9%, 고등학생이 3.4%로 중학생이 가장 취약한 것으로 조사됐다. 주로 메신저, 게임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지난해 대통령 선거에서 선거 대상 연령 중 가장 나이가 어린 19세 투표율은 직전 대선보다 3.7%포인트상승한 77.7%였다.
전체 평균(77.2%)보다 0.5%p 높은 것이다. 대선뿐만 아니라 국회의원, 지방의회의원 선거 등에서도 사회·정치에 대한 청소년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청소년 투표율이 상승하는 추세라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실제로 지난해 초등학교 4학년 이상과 중·고등학생의 87.6%가 '청소년도 사회 문제나 정치 문제에 관심을 두고 참여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pride@fnnews.com 이병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