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고령사회위, 한부모용 지원제도 안내문 제작
미혼모·부 등 한부모 지원제도 안내문 |
구분 |
지원내용 |
신청문의 |
임신 |
긴급복지지원 |
읍면동 주민센터 |
? |
* 임신, 출산, 양육상 생계의 어려움을 이유로 한 긴급복지지원 신청 가능 |
보건복지부 콜센터 |
출산 |
임신 출산 진료지원 비 |
보건소 |
|
* 국민행복카드 지원 |
보건복지부콜센터 |
|
출산비용 지원 |
읍면동 주민센터 |
|
* (기초생활수급자?긴급복지지원대상자) 자녀 1인당 60만원 |
보건복지부 콜센터 |
|
* (1∼6급 여성장애인) 자녀 1인당 100만원 |
|
|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
보건소 |
|
* 건강관리사 파견(바우처) |
보건복지부 콜센터 |
양육 |
한부모가족 지원 |
읍면동 주민센터 |
? |
* 아동양육비?추가 아동양육비?학용품비? |
복지로 홈페이지 |
생계 |
시설입소자 생활보조금?한부모가족 증명서 |
한부모상담전화 |
|
청소년 한부모 아동양육 및 자립지원 |
|
|
* 아동양육비?검정고시 학습비?고교생 교육비?자립지원촉진수당 |
|
|
미혼모부자 초기지원 |
한부모상담전화(연결후 2번) |
|
* 출산?양육지원, 친자검사비 지원, 교육?문화프로그램?자조모임 등 |
|
|
기저귀?조제분유 비용 지원 |
시군구보건소 |
|
* 국민행복카드 지원 |
읍면동 주민센터 |
|
자녀 교육비 지원 |
읍면동 주민센터 |
|
|
교육비원클릭시스템 |
|
|
|
|
* 고교 학비, 학교급식비, 방과후 학교 자유수강권, 교육정보화지원 등 |
교육비지원중앙상담센터 |
|
한시적 양육비 긴급지원 |
양육비이행관리원 |
|
* 자녀 1인당 월 20만원 |
양육비이행 상담전화(연결후 1번) |
주거 |
한부모가족 복지시설 |
거주지 시군구청 |
지원 |
|
한부모상담전화(연결후 1번) |
|
무주택 미혼모 매입임대주택 |
거주지 시군구청 |
|
* 관리비 수준 비용만 납부 |
한부모상담전화(연결후 2번) |
|
공공임대주택 지원 |
거주지 시군구청 |
|
(1순위 또는 기관추천) |
각 시도도청 |
|
* 영구임대(50년), 매입?전세임대, 국민임대(30년), 5년?10년 공공임대, 장기전세 등 |
한국토지주택공사 |
|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
|
여성가족부와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는 미혼모・부 등 한부모가족용 ‘한 눈에 보는 지원제도 안내문’을 제작했다.
많은 미혼모・부들이 지원정보 안내가 부족해 불편을 겪는 일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어려운 상황임에도 제도를 몰라서 도움을 못받는 상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다.
안내문에는 ▴임신 및 출산 ▴양육 및 생계 ▴주거지원 ▴사회서비스 ▴자녀돌봄 ▴요금감면 등이 포함됐다.
임신, 출산, 양육과정에서 생계의 어려움을 겪게되거나 출산 비용 지원이 필요한 경우 읍면동 주민센터나 보건복지부 콜센터 129를 통해 지원을 요청하면 된다.
저출산고령사회위 관계자는 "많은 임신부가 모르고 있지만 대다수 지자체에서는 임신·출산 상 생계의 어려움으로 인한 긴급복지지원 신청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출산 양육비 친자 검사비 지원 등 미혼모부자 초기 지원에 대한 문의는 '한부모상담전화'를 통해 문의하면 된다.
기저귀, 조제분유 비용 지원, 자녀 교육비 지원은 읍・면・동 주민센터나 ∙교육비 원클릭 신청시스템를 통해 도움을 받으면 된다.
자녀 1인당 월 20만원을 지원받을 수 있는 한시적 양육비 긴급 지원은 양육비 이행 관리원을 통해 알아볼 수 있다.
주거에 대한 문의는 거주지 내 시군 구청이나 '한부모 상담전화'를 활용하면 된다. '한부모상담전화'에서 한부모가족 복지시설, 무주택 미혼모 매입임대 주택, 공공임대 주택 지원 등의 상담을 받을 수 있다.
한부모에게는 지역 난방 할인, 수도요금 감면, 과태료 50%이내 감경, 자동차 수수료 감면, 종량제 폐기물 처리 수수료 감면 등 정부 부처와 지자체 내 다양한 제도가 있는 만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기순 여성가족부 청소년가족정책실장은 “전국 읍·면·동 주민센터는 미혼모·부의 제도권 진입 여부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초기 창구로, 현장공무원들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모든 가족이 출산이나 혼인 형태와 관계없이, 소소한 일상 속의 차별과 불편을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spring@fnnews.com 이보미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