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

"내년 美 금리인상 제동 걸릴것"...부채급증, 무역분쟁 등 경기위축

미국 연방준비위원회의 금리인상 기조가 계속될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내년부터는 제동이 걸릴 것이라는 주장이 나와 눈길을 끈다.

국가 부채 규모가 예상만큼 줄지 않아 금리 부담이 커진데다 중국과의 무역 분쟁도 장기화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성장률 둔화 등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15일 금융연구원에 따르면 최근 미국 연방준비위원회의 금리인상 기조가 내년부터 완화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당초 주요 투자은행(IB)들은 올해 4·4분기부터 내년 3·4분기까지 총 3차례 추가 금리인상이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금융연구원 박해식 선임연구위원은 " 지난달 말 시카고상업거래소(CME)에 상장된 연방기금금리 선물의 내재금리를 고려하면 12월 연방시장공개위원회(FOMC) 회의에서 금리 인상이 이뤄질 가능성은 약 79.2%지만 내년 상반기 중 추가 금리인상 가능성은 약 40%로 낮게 나온다"면서 "최근 블룸버그도 올해 12월에는 금리 인상 가능성이 65.7%이지만 내년 3월에는 46.1%로 예측했다"고 전했다.

박 연구위원에 따르면 이 같은 변화에는 4가지 요인이 있다.

우선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디레버리지(부채 축소)를 통해 축소될 것으로 여겼던 미국의 부채규모가 오히려 확대되면서 부채 상환부담이 크게 늘었다. 미국의 공공부채와 민간부채 규모는 금융위기가 발발한 지난 2008년 말 약 36조2000억달러를 기록했으나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해 2016년말 49조8000억달러로 늘었다.

또 중국과의 무역 분쟁이 장기화되면서 내년 미국의 경제상황은 올해와는 확연히 다를 것이란 부정적인 전망도 나오고 있다. 중국의 대미 수출품목에 대한 관세 부과로 발생하는 수입금액이 미국 소비자들에게 전가될 경우 소비세가 부과되며 이는 앞서 시행한 개인소득세 감세조치 효과를 반감시키는 결과로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세번째로 미 연준이 내년에도 금리를 인상할 경우 연방기금금리는 2.875%에 도달하는데 이는 현재 10년만기 미 국채 수익률에 근접하는 수준이다. 결국 기준금리가 중립금리(경기를 자극하지도 억제하지도 않는 금리) 수준이 되는 셈인데 이 경우 채권 수익률 곡선이 평탄화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과거 미국에선 경기 둔화, 침체에 앞서 장단기 금리 스프레드가 역전되는 경향을 보여왔다.
10년물 국채수익률에서 2년물 수익률을 뺀 장단기 스프레드 역시 20bps 수준으로 하락해 1977년 이후 평균치인 100bps에 한 참 못미친다.

박 연구위원은 "이는 미 연준의 통화정책이 이미 중립적인 영역을 넘어 긴축에 진입했다는 지적이 나올만한 대목"이라면서 "미국 금리인상 지속 기조에 대한 우려가 많이 나오고 있는 것은 그만큼 세계 금융불안 가능성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지난 6월 FOMC 위원들의 금리전망 점도표에 따르면 12월 미국은 추가 금리인상으로 금리가 2.25~2.50%로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wild@fnnews.com 박하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