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

[신남방 비즈니스 포럼] "한국만의 상생 모델로 인도·아세안과 손잡아라"

국가마다 경제·문화 달라 일방적 무역·투자 확대..과거 방식으로는 안통해 전문가 "접근방식 바꿔야"

[신남방 비즈니스 포럼] "한국만의 상생 모델로 인도·아세안과 손잡아라"
한반도 신남방정책의 길 파이낸셜뉴스와 산업통상자원부, KOTRA가 공동 주최한 '신남방 비즈니스 포럼'이 30일 서울 올림픽로 롯데호텔월드에서 열렸다. 문재인정부의 핵심 경제정책인 신남방정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모색하고자 마련된 이날 포럼에서 김현철 신남방정책특별위원장이 환영사를 하고 있다. 이날 포럼을 시작으로 신남방주간은 31일까지 이어진다. 사진=김범석 기자


"신남방정책 '한국형 협력모델'을 만들자."

30일 산업통상자원부와 KOTRA, 파이낸셜뉴스가 서울 올림픽로 롯데호텔월드에서 공동 개최한 '신남방 비즈니스 포럼'에서 신남방 정책의 지속 가능한 발전 방향이 이같이 제시됐다. '한국형 성공모델'을 만들어 신남방 국가와 장기적 협력기반을 구축해야 한다는 것이다.

성장동력을 잃어가는 우리 경제에서 '신남방'의 중요성은 높아지고 있다. 국가 주력산업 둔화, 증시 하락 등 실물경제 침체와 미·중 무역분쟁 심화, 신흥국 시장 불안, 유가 상승 등 대내외 리스크에 둘러싸인 우리나라가 '신남방'에 더 주목해야 하는 이유다. 아세안(ASEAN)은 우리의 2위 교역(1188억달러), 투자(64억달러) 시장이다. 여기에 구매력 기준 세계 3위 경제대국 인도를 포함하면 전 세계 인구의 4분의 1이 인도·아세안이다. 이곳이 우리가 표방한 '신남방 정책'의 파트너다.

그러나 아세안은 국가마다 발전단계, 경제규모, 문화가 다르다. 일방적인 무역·투자 확대라는 과거의 단선적 방식으로 접근해선 안된다. 자본력의 중국, 기획력의 일본에 차별화하는 '한국형 상생 협력모델'을 찾아야 한다는 게 이날 포럼에 참석한 전문가들의 제언이다.

이번 포럼은 문재인정부가 지난해 11월 사람(People), 공동번영(Prosperity), 평화(Peace)에 기반한 신남방 정책을 공식 표방한 후 정부가 주최하는 첫 대규모 행사다. '대한민국, 신남방과 미래를 열다-평화와 번영의 상생협력 파트너십'이라는 주제로 다양한 신남방 국가와의 경제협력 파트너십이 모색됐다.

이날 포럼을 요약하는 키워드는 '다변화'와 '지속가능' '한국형 모델'이다. 김창규 산업부 신통상질서전략실장은 △국가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접근 △신남방 진출 기업활동 지원 강화 △대내외 경제협력 기반 구축 등 3가지 신남방정책 추진 방향을 밝혔다. 김 실장은 "신남방 국가별 특성과 한국과의 비교우위를 고려한 맞춤형 전략으로 접근하겠다. 지속적인 성과 창출을 위한 산업생태계 협력 기반을 마련하고 정책의 효과를 극대화하겠다"고 강조했다.

김현철 신남방정책특별위원장은 "한국과 신남방 지역과 (경제·외교·문화 등 여러 분야에서) 연계성을 증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그는 "신남방 지역의 스마트·정보통신기술(ICT), 교통, 에너지, 수자원 등 인프라 건설에 한국 기업들이 적극 참여하도록 정부 차원의 지원을 집중하겠다"고 했다. 이를 위해 민관 공동으로 2022년까지 1억달러 규모의 한·아세안 글로벌인프라펀드(GIF)를 신규 조성한다.

전문가들은 신남방 정책이 지속 가능하고 포용적인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이혁 한·아세안센터 사무총장은 "우리 기업들의 투자가 가장 왕성한 베트남에서 한국형 모델을 만들어야 한다.
베트남을 글로벌 생산, 연구개발 기지로 삼아 현지에 생태계를 조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른 아세안 국가, 나아가 글로벌 시장으로 진출해 나가야 한다"고 제언했다. 곽성일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신남방경제실장은 "상대국에 대한 이해를 바탕에 둔 상생형 통상 등 '돈으로 얻지 못하는' 그들의 마음을 얻는 포용적인 전략이 필요하다"고 했다.

한편 이번 포럼은 이날부터 이틀간 열리는 신남방주간(아세안·인도 비즈니스 위크) 개막행사로 열렸다.

특별취재팀 정상균 차장 이보미 이병철 차장 장민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