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

[fn 통일포럼]"文대통령-시진핑 내년 상호방문 할것"

제5회 fn통일포럼, 추궈훙 주한중국대사 연설 "한반도 정세 개선되면 시주석, 방북 빨라질 수도"

[fn 통일포럼]"文대통령-시진핑 내년 상호방문 할것"
파이낸셜뉴스와 fn통일연구원 공동주최로 15일 서울 장충단로 반얀트리클럽앤스파에서 '제5회 fn통일포럼'이 열렸다. 초청 연사로 나선 추궈훙 주한 중국대사(왼쪽 세번째)가 '한·중 관계와 한반도 정세'에 관해 발언하고 있다. 사진=박범준 기자


추궈훙 주한 중국대사는 15일 "내년에 한·중 양국 정상이 상호 방문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또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북한의 비핵화가 진전되면 적절한 시기에 북한을 방문할 것이며, 한반도 정세가 개선될 경우 (방문시기가) 앞당겨질 수도 있다"고 말했다.

한반도 비핵화를 위한 북·미 대화가 교착상황에 빠진 가운데 안정적인 비핵화 로드맵 구축 과정에서 한·중 협력에 속도를 내는 한편 '거중조정자' 역할을 위해 북·중 대화에도 적극 나서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추 대사는 유엔사령부와 주한미군에 대해선 "한반도에서 평화협정이 체결되면 유엔사는 필요하지 않을 것"이라면서도 "(주한미군은) 중국 안보에 영향을 주지 않는 선에서 유지돼야 한다"고 밝혔다.

추 대사는 이날 파이낸셜뉴스와 fn통일연구원이 서울 장충단로 반야트리클럽앤스파에서 공동 개최한 '제5회 fn통일포럼'에 기조연설자로 참석, 한반도 평화와 중국의 관계에 대해 이같이 설명했다.

fn통일포럼은 통일외교 정책에 대해 토론하고 대안을 모색하기 위한 정례모임이다. 지난해 11월 처음 자리가 마련된 이후 장달중 서울대 명예교수를 비롯해 현정택 전 대외경제정책연구원장, 김성재 김대중아카데미 원장 등 매회 50여명의 통일분야 국내외 최고 전문가들이 열띤 토론을 벌이고 있다.

추 대사는 우선 한·중 관계에 대해 "이웃"이라며 "실질적 교류·협력을 강화하고, 국민이 행복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지난 2016년부터 시작된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갈등은 "우리(중국)가 원치 않은 것"이라면서도 "서로 입장을 생각하고, 핵심 관심사를 중요시하게 됐고, 양국 미래를 돌아보는 계기가 됐다"고 평가했다.

그는 사드 갈등이 풀린 배경은 문재인 대통령의 지난해 중국 방문이라고 주장했다. 이를 통해 한·중 관계 발전의 기반이 됐다는 게 추 대사의 설명이다.

추 대사는 그러면서 "(사드갈등의) 완전 해결을 위해선 양국 고위층의 정치적 상호 신뢰가 높아져야 한다"고 했다. 그는 "내년에 두 나라 정상이 상호 방문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며 "정상 간 상호 방문이 남겨진 문제를 해결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사(大使)가 해당 국가를 대표해 파견된 외교의 최고 직급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추 대사의 발언은 사실상 중국 당국의 입장으로 해석된다. 추 대사는 일부 질문에 대해선 '개인적 의견'이라며 구분을 명확히 했다.

추 대사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중국을 3차례 방문한 것에 대해선 첫 번째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만나기 전 북·중 관계 개선을 위해, 두 번째는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 전 안전보장을 위해, 세 번째는 감사의 표시였다고 했다.

그는 시 주석의 북한 방문도 정상적이고 합리적인 생각이라고 해석했다. 다만 북한에서 비핵화가 진전돼야 한다는 것을 전제했다. 언제 방중할지 알 수 없지만 시기가 앞당겨질 가능성도 있다고 했다.

추 대사는 유엔사 지위 문제의 경우 지난 9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때 유엔 주재 중국대사 입장을 그대로 유지했다. 평화체계가 구축되는 과정에서 반드시 해결해야 하며, 평화협정이 이뤄지면 유엔사는 필요하지 않다는 취지다.

반면 주한미군은 한국과 중국의 동맹을 존중한다고 했다. 그러나 중국 안보에 영향을 주지 않는 선에서 유지돼야 한다고 단서를 달았다. 추 대사는 남북이 함께 유치하기로 한 2032년 하계올림픽 개최를 개인적으로 지지하며, 중국 정부도 이해하고 지지할 것으로 본다고 했다.
그에 필요한 협조도 제공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북·미 정상회담과 관련해선 "내년 초나 조금 더 늦은 시점에 수면 아래에서 (회담) 준비가 이뤄질 것"이라고 관측했다. 미국의 정치적 상황과 직결돼 있기 때문이라는 게 추 대사의 분석이다.

jjw@fnnews.com 정지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