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

美 금리인상에 美·中 무역담판까지.. 연말 빅 이벤트에 환율 ‘오리무중’

연말 원.달러 환율 방향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대외 이벤트가 줄줄이 열리며 외환시장 경계감이 높아지고 있다. 당장 11~12월 한국과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기준금리 인상이 유력시되고 있고, 오는 30일 열리는 미·중 정상회담에선 양국 무역분쟁의 향방을 가를 합의문이 도출될지가 관심이다.

28일 서울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보다 2.90원(0.26%) 하락한 1126.50원에 거래를 마쳤다. 원.달러 환율은 11월 들어 1110~1130원대 구간을 오르내리고 있다.

시장에선 12월 미 연준의 금리인상을 확실시하는 모습이다. 변수는 미 금리인상의 속도조절 가능성이다. 미 연준 리처드 클라리다 부의장이 최근 전 세계 경기둔화를 우려하는 목소리를 내놓은 것을 두고 당초 내년 3회로 예정된 금리인상 속도가 늦춰질 가능성을 제기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실제 2016년 3월 재닛 옐런 전 연준 의장이 중국, 신흥국 경기 둔화 등을 이유로 금리를 동결하기도 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도 저유가를 촉구하며 금리인상에 반대하고 있다. 유가가 하락하면 연준이 목표하는 인플레이션율 달성이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관건은 연준 위원들의 내년 금리인상 전망을 담은 점도표다. 시장에선 3번으로 찍혀 있던 점도표가 1~2번까지 줄어들 가능성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미국의 금리인상 속도가 당초 예상보다 느려질 경우 우리나라의 외화 유출을 진정시키는 효과를 낼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한은은 30일로 예정된 올해 마지막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올릴 것이 확실시되는 분위기다. 한은이 금리를 동결하고, 미 연준이 12월 금리인상을 단행하면 양국 금리 차가 1.0%포인트까지 벌어지기 때문이다. 내년에는 경기침체로 한은이 기준금리 동결 기조를 장기간 이어갈 것이란 관측이 높은 상황에서 연준이 금리인상 속도를 늦출 경우 자본이탈 우려도 다소 완화될 전망이다.

30일로 예정된 미·중 정상회의에서 양측이 무역분쟁에 합의할지도 외환시장에 변수다. 합의에 실패하면 무역분쟁 장기화 신호로 인식돼 위험자산 회피심리가 확산, 달러화 강세를 이끌 여지가 높기 때문이다. 실제 지난 10월 한 달간 국내 주식.채권시장에서 외국인 자금은 42억7000만달러나 빠져나갔다. 미·중 무역분쟁이 심화된 영향이 컸다는 분석이다. 이에 지난달 원·달러 환율은 1년여 만에 1140원대를 돌파하기도 했다.


국제금융센터는 내년 달러 강.약세 요인이 혼재함에 따라 약보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내다봤다. 강세 요인으로는 △미.중 무역분쟁 지속 △자산가격 조정 △미국으로의 자금유입 △브렉시트 및 여타 지정학적 위험 등을, 약세 요인으로는 △미 금리인상 사이클 종료 임박 △미 경기 둔화 △미 정부의 달러 약세 유도 △여타국 통화정책 정상화 등을 꼽았다.

우리은행 민경원 이코노미스트는 "당장 이번주 미·중 무역분쟁에 대한 결론이 나오지 않으면 관세 부과로 중국 수출 침체 등으로 원·달러 환율이 상승세로 탄력을 받을 수 있다"며 "그 이후 연준의 긴축이 종료가 되면서 레벨을 낮출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mkchang@fnnews.com 장민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