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요청 따라 加벤쿠버에서 체포.. 이란제재 위반 의혹에 연루된 듯
화웨이 5G장비 불매국도 확산.. 호주·뉴질랜드 이어 英도 금지.. 美·中 무역갈등 증폭 우려감
멍완저우 EPA연합뉴스
【 베이징=조창원 특파원】 중국의 대표적 기술기업인 화웨이가 최악의 경영위기에 몰렸다.
화웨이 런정페이 회장의 딸인 멍완저우 글로벌 최고재무책임자(CFO)가 캐나다에서 미국의 요청으로 체포됐다. 이란에 대한 미국의 거래 제재를 위반한 혐의로 알려졌다. 멍 CFO는 화웨이의 유력한 후계자라는 점에서 이번 체포가 화웨이 경영구도에 미칠 파장이 주목된다. 더구나 미중 양국 정상이 90일간의 무역전쟁 휴전에 합의한 직후 이같은 일이 벌어져 양국 무역갈등을 증폭시키는 도화선이 될 것이란 우려도 제기된다. 미국, 호주, 뉴질랜드에 이어 영국도 화웨이의 5G 장비 사용 금지 대열에 나선 점도 화웨이 실적 악화에 직격탄이 될 전망이다.
■후계자 체포 파장 일파만파
이언 매클라우드 캐나다 법무부 대변인은 5일(현지시간) 캐나다 일간 글로브 앤드 메일에 "멍완저우는 12월 1일 밴쿠버에서 체포됐다"며 "미국이 인도를 요구하는 인물이며 보석 심리일은 금요일(7일)로 잡혀있다"고 밝혔다. 캐나다 당국은 멍 CFO가 요청한 보도 금지에 따라 체포 배경 등 추가적인 내용은 제공하지 않았다.
주캐나다 중국 대사관은 이날 성명을 내고 "캐나다 경찰이 미국과 캐나다의 어떤 법률도 위반하지 않은 중국 국민을 미국 요청으로 체포했다"며 "심각한 인권 침해 행위에 중국은 결연한 반대와 강력한 항의를 표시한다"고 밝혔다.
화웨이도 6일 오전 성명에서 "회사 측은 멍 여사가 어떤 잘못된 일을 했는지 알지 못한다"며 "회사측은 (멍완저우의) 혐의와 관련해서 매우 적은 정보를 제공받은 상태"라고 설명했다. 멍 CFO는 미국 당국의 요청으로 밴쿠버에서 체포됐으며 미국에 인도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사건은 미중 무역갈등을 더욱 고조시키는 재료가 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멍 CFO가 체포된 정확한 원인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지만 그가 이란 제재 위반 의혹에 연루됐다는 관측이 나오기 때문이다. 미국은 중국 통신장비 제조업체인 ZTE(중싱통신)가 대북 및 대이란 제재를 위반했다는 이유로 미국 기업과 거래를 할 수 없도록 하는 제재를 가했다가 1조원이 넘는 벌금을 받고 풀어준 적이 있다. 화웨이도 ZTE와 유사한 케이스로 다뤄질 가능성이 높다.
화웨이가 중국을 대표하는 글로벌 통신장비업체인 데다 체포된 멍 CFO가 화웨이 런정페이 회장의 딸이란 점도 이번 사안이 예사롭지 않다. 멍 부회장은 대학 졸업후 지난 1993년 화웨이에 정식 입사해 재무 분야에서 줄곧 경영수업을 쌓아왔다. CFO 요직까지 오른 그는 런정페이 회장의 뒤를 이을 후계자로 낙점됐다는 평가를 받았다. ZTE에 비해 파장이 예사롭지 않을 것으로 보이는 이유다.
■5G불매 확산···수익 타격도 심해
멍 CFO의 체포건은 미국 주요 동맹국들의 화웨이 장비사용 금지 행보와 맞물려 회사의 향후 경영에 심각한 악재가 될 전망이다. 파이낸셜타임스(FT) 등 주요 외신들은 호주, 뉴질랜드에 이어 영국도 세계 최대의 통신장비업체인 중국 화웨이의 5세대 이동통신(5G) 장비 사용을 금지키로 했다고 보도했다. 영국의 주요 텔레콤 회사인 브리티시텔레콤(BT)이 화웨이를 5G 네트워크 사업에서 제외키로 한 것. BT는 기존 3G, 4G에서 사용됐던 화웨이의 장비도 교체키로 했다.
이같은 결정은 미국이 최근 동맹국에게 보안을 이유로 중국 화웨이의 장비를 쓰지 말 것을 요구한 데 따른 것이다. 미국의 이같은 조치는 두 가지 포석으로 읽힌다. 우선, 미국은 미군이 주둔한 지역에 화웨이 장비를 설치한 통신기지가 들어설 경우 미군 정보가 누출될 것이란 국가안보상 이유를 내걸어 화웨이 제품 사용 금지를 독려하고 있다.
아울러 중국산 5G가 세계의 표준이 되는 것을 경계하기 위한 의중도 작용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미국에 이어 호주와 뉴질랜드가 화웨이 장비 사용금지에 동참한 가운데 영국의 이번 결정이 중대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영국의 결단에 따라 미국의 주요 동맹국 가운데 일본,독일,이탈리야의 입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서다.
jjack3@fnnews.com 조창원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