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

내년 '3·1운동 100주년' 남북공동 기념 행사 추진

'쉽고 바르게 읽는 3·1 독립선언서' 제작 보급키로
민간위원 67명중  절반이상 여성... 소외된 역사 재조명

내년 3·1운동 100주년을 맞아 대대적인 기념 행사가 펼쳐진다.

특히 지난 100년의 역사 속에서 소외돼 온 온 여성의 역할과 가치에 대해 재조명한다.

대통령 직속 3·1운동 및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사업추진위원회는 1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이낙연 국무총리 주재로 제3차 전체회의를 열고 총 104개 핵심사업을 담은 종합계획을 확정했다.

종합계획은 과거, 현재, 미래를 주제로 한 3개 분야를 아우른다.

추진위는 국·한문 혼용으로 쓰인 독립선언서 원문의 의미를 살리면서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쉽고 바르게 읽는 3·1 독립선언서'를 제작해 보급하기로 했다.

20대에서 80대에 이르는 연령대와 다양한 직군, 역사적 상징 등을 바탕으로 위촉된 민간위원 67명의 심도 있는 검토를 통해 기념사업을 최종 확정했다.

특히 전체위원의 절반이상이 여성으로 구성된 점은 지난 100년의 역사 속에서 소외돼 온 여성의 역할과 가치에 대해 성찰하고 재조명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됐다.

분단과 전쟁을 극복하고 발전한 역사, 인권과 민주의 가치를 실천한 여성의 역할과 가치, 산업화 과정에서 여성의 역할 등 지난 100년의 다양한 부분을 살펴보는 사업도 준비한다.

내년 3·1절과 임시정부 수립기념일인 4월 11일을 전후해 각지에서 문화예술행사가 열린다. 3월 1일부터 4월 11일은 100주년 기념기간으로 지정됐다.

전국 곳곳에서 '독립의 횃불'을 릴레이로 봉송하고 미국 필라델피아에서는 제1차 한인회의 재현 행사가 열린다. 중국 상하이에서 임시의정원 개원과 임시정부 수립을 기념하는 국제 세미나, 일본 도쿄에는 2·8 독립선언 100주년 기념행사를 준비한다.

추진위는 일제강점기 수형 기록을 전수조사하고 추가 유공자 지정을 추진한다. 독립운동을 지원한 외국인의 공적도 발굴한다. 국외 거주 독립유공자 후손 초청, 임시정부 루트 탐방도 추진한다.

묘지가 미확인된 독립유공자의 묘지를 찾고자 후손의 DNA 확보를 추진하고 국외 독립유공자 유해 국내 봉환도 계속한다.

'독립운동을 하면 삼대가 망한다'는 속설을 타파하기 위해 독립유공자 후손의 심리적 트라우마 치유 방안도 강구한다.

의병 활동을 다룬 창극 '호남의병 혈전기 제작', 이상화·이육사·윤동주·한용운의 삶과 문학을 재조명하는 '우국시인 현창 문학제' 개최가 진행된다.

효창공원의 독립공원화, 중국 충칭 광복군 총사령부 복원, 러시아 우수리스크 최재형 전시관 개관, 우토로 기념관 건립 등 역사적 의미를 담은 공간 조성에도 힘쓴다.

지난 100년을 성찰해 발전을 도모하는 사업도 진행한다.

추진위는 내년 3월께 브루스 커밍스 등 석학을 초청해 한국의 독립운동이 동북아 평화에 미친 영향 등을 주제로 국제학술포럼을 개최하기로 했다.

추진위는 지난 9월 평양공동선언에 남과 북이 협의해 3·1운동 100주년 기념행사를 공동으로 치르기로 한다는 내용이 담긴 만큼 남북 대학생 교류, 공동 학술회의나 전시회 등을 북측과 협의해 추진할 방침이다.

추진위는 "일회성 행사가 아닌 국민적 관심이 이어질 수 있는 프로그램을 구성할 것"이라며 "내년 5월 이후에는 3·1운동의 정신과 임시정부의 가치를 확산하는 데 주력하면서 미래 100년의 비전 수립을 위한 행사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win5858@fnnews.com 김성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