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

새해맞은 지방정부 너도나도 "지역특화 일자리 창출"

광주 '광주형 일자리' 재도전.. 현대자동차 완성차 공장 유치
충남도 "일자리 20만개 창출".. 울산, 풍력 등 에너지산업 초점

새해맞은 지방정부 너도나도 "지역특화 일자리 창출"
울산시 동구 전하동 현대중공업 작업 현장의 모습. 수많은 오토바이가 세워져 있는 앞으로 현대중공업 직원들이 지나가고 있다. 조선업종 불황으로 수많은 노동자들이 일터를 잃으면서 지역경제난이 가중되자 울산시는 부유식 해상풍력단지 조성 사업을 통해 조선해양플랜트 기반의 새로운 대규모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계획을 야심차게 추진하고 있다. 울산시 제공

【 전국 종합】 새해에도 전국 주요 지방자치단체들이 일자리 창출에 매진한다. 세계 경제 침체가 지속되면서 국내 경기 전망도 여전히 불투명해서다. 당분간 정부 주도의 일자리 창출이 주를 이룰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지자체들은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생동감 넘치는 일자리 창출 정책과 방안 발굴을 적극 추진해 관심을 끌고 있다.

■ '광주형 일자리' 재도전

지난해 큰 관심을 끌었던 '광주형 일자리'가 대표적이다. 광주시는 노사상생형 일자리창출 사업인 '광주형 일자리'의 첫 번째 사업인 현대자동차 완성차 공장 투자유치를 반드시 성공시킨다는 구상이다. 경제자유구역을 지정하고 자동차·에너지·문화 등 3대 밸리조성에 박차를 가해 광주의 미래성장 동력을 확충할 계획이다. 또 투자유치 시스템을 혁신해 '광주에 투자하면 수익이 난다'는 공식을 만들어 간다는 방침이다.

전남도 또한 생물?의약, e-모빌리티, 우주?항공 등 미래 성장산업 육성과 조선, 철강, 석유화학 등 주력산업의 재도약 기반을 마련하고, 수도권 기업설명회 강화, 잠재기업 발굴 등으로 일자리 창출형 기업을 적극 유치하고 일자리 핵심시책 추진 등으로 양질의 일자리 창출에 매진할 예정이다.

대구시는 골목경제와 전통산업이 다시금 활기를 되찾아 지역 경제의 든든한 버팀목이 될 수 있도록 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다. 특히 그동안 착실히 준비해온 산업구조 혁신의 토대 위에 5대 신성장 산업을 비롯한 미래 성장 동력이 알찬 열매를 맺을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경북도는 경북의 강점을 살린 신산업을 조기에 육성하고 기업의 눈높이에 맞춘 투자유치로 4차 산업혁명의 새로운 시대를 선도해 나가면서 경북 동해안은 신북방 경제의 전초기지로 만들어가겠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경북도는 한 가족 한 뿌리인 대구시와 상생과 협력으로 하나의 나라에 버금가는 경제공동체를 실현한다는 복안이다.

■ 충남도 일자리 20만개 목표

충남도는 민선7기 4년 안에 일자리 20만개를 새로 만들고 고용률 65%달성한다는 목표 아래 새해 '민선7기 일자리 대책 종합계획'을 추진한다. 청년 창업 공간 조성, 청년 농어업인 지원, 수소연료전지차 부품 실용화 산업 기반 육성, 해양치유산업 육성, 광역 새일센터 운영, 일자리진흥원 설립 추진 △일자리종합센터 운영 등이 눈길을 끌고 있다.

제주도는 올해 일자리예산으로 지난해의 1953억원보다 290억원(14.8%) 증가한 2243억원을 배정했다. 이번에 편성된 일자리 예산은 도 전체예산액의 4.1%다. 특히 청년 일자리 분야의 경우 32억원을 들여 '제주 더 큰 내일센터'를 설립하고, 교육훈련 지원과 함께 창업으로 연결하는 사업을 추진한다. 중장년, 노인, 장애인 등 취업취약계층을 위한 일자리 사업예산도 확대됐다.

울산시는 새해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재도약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발표했다. 우선 부유식 해상풍력발전단지 조성사업과 수소발전시스템 등 수소경제 기반조성, LNG 벙커링, 원전해체산업 등과 연계해 일자리를 만든다는 계획이다.
특히 해상풍력발전단지는 조선해양플랜트와 연계돼 대규모 일자리 창출이 가능한 노동집약형 산업이다.

인천시는 창업·기업 지원 펀드를 체계화 하고 근로 환경 개선을 위해 공장을 스마트 팩토리로 개선하는 작업을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인천시는 그동안 통합 사이트의 부재로 취·창업, 일자리 사업 등 산재돼 있던 일자리 정보를 통합한 사용자 고객 중심의 일자리 정보 포털도 구축키로 했다.

ulsan@fnnews.com 최수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