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

여·야 총선모드 전환… 비례의원, 지역구 경쟁 '예열'

예산 따내기 등 공천 경쟁력 확보

2020년 21대 총선을 1년여 앞두고 각당이 총선 준비 모드로 속속 전환하면서 여야 비례대표 의원들의 지역구 경쟁도 갈수록 예열되고 있다.

각당의 비례대표 의원들을 중심으로 지역구 선점 경쟁이나 지역 선택의 고민이 늘고, 일부는 이미 특정 지역에서 현역 지역구 의원과 예산 따내기 경쟁을 벌이고 있는 등 공천 경쟁력 확보에 여념이 없다.

더불어민주당 서울 서초을 지역위원장인 박경미 의원은 지난해 "방배 체육공원 축구장 확장공사 사업비로 서울시 예산 20억원을 확보했다"는 보도자료를 배포했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인 바른미래당 김수민 의원도 지난 연말 "청주 청원구의 미술품수장보존센터 운영 예산 등 모두 1757억원의 예산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지난 21일에는 청주시 청원구 출마를 선언했다.

대구 달서병 지역위원장인 한국당 강효상 의원도 지난해 환경노동위 회의에서 "낙동강 통합물관리 용역 및 무방류시스템 기술용역 예산 40억원을 반영해달라"고 촉구했다.

상대당 중진의원 지역구에서 당선을 목표로 뛰는 의원도 있다. 이재정 민주당 의원은 한국당 중진인 심재철 의원 지역구인 경기도 안양 동안을에 출마를 준비 중이다.

다만 이같은 행보는 야당에 비해 여당 비례의원들이 더 활발하게 움직이고 있다. 여당은 지방선거 압승에 이어 차기 총선에도 기대감을 보이는 반면 야당은 여전히 조심스럽다 태도로 관망 중인 경우가 많아서다. 물론 여당을 중심으로 일부 스타급 의원들은 오히려 일찌감치 지역구 출마를 포기한 경우도 늘고 있다.

한 비례의원은 최근 기자들과 만나 "다른 비례의원들까지 비난하고 싶지는 않지만 의정활동보다 지역구 예산 챙기기에 급급한 정치는 하고싶지 않다"고 했다.


이 같은 성향 의원들 중에는 민주당 최운열, 김성수, 이철희 의원이 대표적이다.

비례대표제는 총선에서 정당 득표가 왜곡되는 현상을 바로잡고 국회의 전문성을 살라자는 취지로 마련된 제도다.

그러나 여야 비례의원 다수는 임기 3년차가 지나면 대부분 차기 총선 출마를 위해 지역구를 선택해 도전하는 것이 관행화되면서 이를 둘러싼 찬반론이 총선을 1년 앞둔 올해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cerju@fnnews.com 심형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