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경애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학 교수가 최근 여시재 초청 간담회에서 최근 북한의 교육개혁 움직임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한국인 교수가 8년간 캐나다 대학에서 김일성종합대학 등 북한 유명 대학 학자들을 초청한 연수 프로그램을 운영해 주목받고 있다. 실제로, 해당 연수 프로그램 출신 학자들이 북한의 개혁·개방 분위기 속에 교육개혁을 이끄는 것으로 파악됐다.
■北학자 46명 캐나다 연수 주도
2일 민간 싱크탱크인 여시재에 따르면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학(UBC)의 '캐나다-북한 지식교류 협력 프로그램(KPP)은 2011년부터 매년 북한 대학에서 6명의 학자들을 초청해 6개월 과정의 연수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북핵 위기로 긴장 국면이 극단을 치달았던 2016~2017년에도 중단되지 않았다. 지금까지 김일성종합대학, 김책공업종합대학, 평양외국어대학, 인민경제대학, 원산경제대학, 평양상업종합대학의 6개 대학에서 46명의 교수들이 이 프로그램을 이수했다.
이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캐나다 정부와 UBC를 설득해 연수 프로그램을 지금까지 이끈 사람이 바로 이 대학의 박경애 정치학 교수다. 박 교수는 매년 북한을 방문해 연수 대상자를 선발해 캐나다로 초청한 뒤 6개월 동안 연수자 뒷바라지를 책임진 것으로 알려졌다. 박 교수는 지난해는 북한 6개 대학 총장과 부총장 대표단 12명을 UBC에 초청해 학술협력 방안을 협의하기도 했다.
박 교수는 미국에서 10년간 교수로 있다가 1993년부터 UBC 교수로 재직 중이다. 그는 캐나다 대표단의 일원으로 1990년대에만 북한을 세 차례 방문해 양국 수교에도 기여했다. 박 교수는 올해 KPP 연수자 확정을 위해 최근 북한을 방문한 뒤 지난달 26일 한국에 왔다. 박 교수는 여시재와의 초청 간담회에서 그간의 KPP 활동과 대북관계 등에 대한 생각을 풀어놨다.
그는 간담회에서 연수 프로그램 개설 배경에 대해 "정치적으로 좋지 않은 상황일수록 ‘트랙 2’가 필요하다고 생각했다"며 "교육을 받을 권리야말로 보편적 인권이라는 생각해 소프트 파워를 국가 간 관계에 활용하겠다는 생각이었다"고 밝혔다. 그는 "그래서 캐나다 외무성과 얘기를 했고 2010년에 북측에 제안서를 보냈다"며 "북측은 제안서의 내용을 전적으로 받아들였는데 연수자들이 주말에는 한식을 먹을 수 있도록 해달라는 부탁 하나만 추가했다”고 전했다.
박 교수에 따르면 6명의 북한 학자 연수는 매년 영어 등 심사과정을 거쳐 선발한 뒤 7~8월 영어 수업을 듣고, 9월부터는 경제, 경영, 무역, 금융, 재정, 삼림학 등 일반 수업을 듣는다. 그룹 프로젝트 수행과 기업인들과의 토론 기회도 제공된다. KPP과정을 수료한 북한 학자들은 인민경제대학 개발학과 신설을 주도하거나 북한 경제개발계획에 대한 정책자문 역할을 맡는 것으로 전해졌다. 원산경제대학에 최근 파일럿 프로그램으로 MBA 과정이 신설된 것도 KPP와의 교류가 계기가 됐다.
■박 교수 "北, 기술집약산업 관심 높아"
박 교수는 최근 북한이 개인의 경제활동을 상당히 보장하는 변화를 보이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600여개 장마당 중 가장 크다는 통일장마당에는 외교관들을 위한 주차장까지 따로 마련돼 있다"며 "하지만 북한 일반 주민들에게는 너무 비싼 물건들도 많은 것 같고, 택배 개념도 생긴 것 같다. 휴대폰으로 원산에 싱싱한 회를 주문하면 다음 날 도착한다고 하더라”고 말했다.
그는 북한이 인재와 과학기술 중시 풍조가 역력하다고 전했다. 그는 "북한을 가보면 어딜 가나 '인재중시' '과학기술 중시'를 강조한다"며 "대학을 세계적 기준의 교육기관으로 키우겠다는 지도부 차원의 의지도 강한 것 같다"고 밝혔다.
박 교수는 북한이 개혁·개방시 노동집약적 산업보다는 기술집약적 산업 육성에 관심이 크다고 소개했다. 그는 “북한이 인건비가 낮은 나라들이 많다보니 개성공단식 노동집약적 발전은 지양할 것으로 본다"며 "토론회 때 보니 그들은’BOT(건설해서 일정기간 운영한 뒤 양도하는 개발 방식)’에 대해 많은 것을 궁금해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외국 기업에 어느 정도의 권한을 주는지, 합영(합병) 시 국내 기업은 토지 외에 무엇을 투자하는 지부터 외국 자본의 국적이나 외국 기업들의 조세 회피를 위한 해외 기업 등록까지도 관심이 있었다”고 덧붙였다.
cgapc@fnnews.com 최갑천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