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실. 사진=게티이미지
정부가 국가 연구개발 혁신 추진을 위해 '한국형 DARPA' 연구사업을 새롭게 추진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8일 국가 R&D 20조원 시대에 걸맞게 혁신추진 세부이행과제를 추가했다.
과기정통부는 국가 R&D 혁신추진을 위해 연구자 중심 R&D지원강화, 혁신주체 역량 제고, 국민 체감 성과 확산 등을 발표한 바 있다. 여기에 추가된 부분은 R&D사업의 혁신전략을 수립하는데 있어 '콘트롤타워 역할 강화'와 연구자 중심의 R&D 지원 부분에서 '한국형 DARPA' 사업이다.
한국형 DARPA 사업은 혁신본부에 전담 매니저를 둬 기술개발, 인력양성, 소재·부품기업 육성, 수요 대기업 연계 등을 관라하고 밀착 지원한다. 사업 추진은 5개 내외 국가 전략 분야를 선정·운영해 5~7년간 분야별로 연간 약 1000억원 규모다. 선정된 연구기관들은 상호 경쟁방식을 적용해 R&D사업의 속도감을 높인다.
DARPA는 미국 국방고등연구계획국으로 미 국방부에 소속된 미군 관련 기술 연구개발기관이다. 우리나라의 국방과학연구소와 비슷하지만, 실질적으로는 무언가를 직접 개발하기보다는 어떠한 사업에 여러 방산업체나 연구기관들을 경합시켜 그중에서 가장 적합한 결과물을 주로 선정한다. 일각에서는 "되든 안 되든 무조건 일단 우리가 최초로 하고 보자"를 모토로 가지고 있다고 한다. 또 "DARPA가 건드린 사업이 3년 내에 실용화된다면 그것은 실패한 사업이다. DARPA는 절대로 구현 불가능할 것 같은 기술에 손을 대야 한다.
"라는 얘기도 있다.
미래혁신전략 수립은 컨트롤 타워 역할을 강화해 올해 하반기 장단기 미래 예측을 바탕으로 2040년을 바라보고 유망 기술분야 도출과 분야별 맞춤형 육성 전략을 제시한다. 장기적 유망기술분야로는 우주, 에너지, 바이오 육성 전략을 수립하고 단기적으로는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양자컴퓨팅 등을 육성한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