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

남북미 대화동력 언제쯤 재개되나.. "포인트는 '4·27 판문점선언 1주년'"

지난 2월 하노이 북미정상회담 결렬 이후 남북미 대화동력이 눈에 띄게 힘을 잃었다. 이와 함께 9·19 남북군사합의 이행 역시 제자리걸음을 걷는 모양새다.

지난 11일 한미정상회담 결과가 마땅한 상황 반전 없이 마무리되면서, 남북미 대화분위기에 다시 불씨를 붙일 다음 포인트는 4·27 판문점선언 1주년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홍규덕 숙명여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우리 정부는 4·27 판문점선언 1주년의 의미를 살리자는 차원에서 직간접적으로 모든 채널을 통해서 노력할 것"이라고 관측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12일 최고인민회의 시정연설에서 한미연합훈련을 또 비난했지만, 대화 모멘텀을 아예 포기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게 홍 교수의 분석이다.

남북 군 당국간 군사합의 이행에도 제동이 걸렸다는 평가다.

군 관계자는 "남북 군사당국간에는 동서해지구에 군 통신선이 있어서 우선 정기적으로도 서로 통화를 하고 필요한 사항이 있으면 전달도 하며 꾸준히 조치가 이뤄지고 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군사합의 이행과 관련해 "북측 상황을 기다리고 있다"며 "북한의 4월은 내부 행사로 바쁜 달"이라고 말했다.

남북공동유해발굴과 JSA 자유왕래 등과 관련해 북측에 대화를 제안한 적 있냐는 질문에는 "구체적으로 이야기할 수 있는 사안은 아니다"라며 "군 통신선이 잘 운영되고 있다"는 답변으로 핵심적인 대답은 피했다.

홍 교수는 "(남북대화의) 불씨가 꺼지거나 남북관계가 경색되거나 위기에 봉착했거나 하는 인상을 주지 않겠다는 게 현정부의 생각"이라며 "(상황이) 아무리 힘들어도 그런 내색은 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현 상황에서 북한이 남북카드를 쉽게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에 따라, 군사합의 폐기 등 극단적인 선택은 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오는 4·27 판문점선언 1주년은 북한에게도 숙제라며 그냥 넘기진 않을 것이라는 추측이 나온다.

홍 교수는 "김 위원장이 북한 매체를 통해 1주년 메시지를 전하거나 대북특사를 받아주는 등 문재인 정부의 체면을 살려주기 위한 행동을 보이는 게 현재로선 가장 유력해보인다"고 말했다.

ju0@fnnews.com 김주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