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

[fn사설] 낡은 투쟁 방식 벗자는 한노총이 옳다

양대 노총이 1일 노동절을 맞아 서울 도심에서 각각 기념행사를 열었다. 두 노총 지도부가 행사에서 밝힌 향후 노선이 크게 엇갈렸다. 한국노총이 대화를 통한 문제 해결을 강조한 반면 민주노총은 7월 총파업을 예고했다.

민주노총 김명환 위원장은 "노동개악에 맞서는 힘찬 파업투쟁을 조직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제노동기구(ILO) 핵심협약 비준을 더 이상 미뤄서는 안된다고 주장했다. 민주노총은 이와 관련해 오는 7월에 20만명이 참여하는 대규모 총파업을 벌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파업하는 이유는 정부가 공공부문 비정규직의 정규직화에 소극적이어서라고 한다.

그러나 민주노총의 비타협 투쟁 노선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높다. 한국노총 김주영 위원장은 이날 "사회적 대화만이 구시대 출구이자, 새 시대 입구가 될 수 있다"며 민주노총의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참여를 촉구했다. 경사노위는 지난해 11월 우리 사회의 갈등 현안들을 대화로 풀기 위해 출범했다. 민주노총은 여기에 참여를 거부하고 있다.

한국노총은 민주노총의 7월 총파업에 대해서도 날 선 비판을 제기했다. 김주영 위원장은 "그런 방식과 활동은 대중에게 '낡은 것'이 됐다"고 말했다. "전부를 쟁취하지 못하면 아무런 결과물을 만들지 못하는 노동조합 운동은 대중으로부터 외면받았다"는 말도 했다. 투쟁일변도 강경노선에 매몰된 민주노총을 겨냥한 발언이다. 한국노총과 민주노총이 경쟁 관계이기는 하지만 이처럼 공개적이고 직접적으로 비판한 것은 이례적이다.

문재인 대통령이 1일 노동절 메시지를 발표했다. 그런데 과거와는 톤이 사뭇 다르다. 문 대통령은 "노동은 상생으로 존중을 찾아야 한다"며 "노동계는 우리 사회의 주류라는 자세로 함께해달라"고 요청했다. 앞부분은 투쟁 대신 상생 노력을 요구한 것이고, 뒷부분은 권리 주장만 하지 말고 책임의식을 가져달라는 당부로 해석된다.


민주노총의 주력인 대기업 노조들은 기득권 계층으로 인식된다. 기득권이 강화될수록 기득권 밖에 있는 대다수 비노조 근로자들과 격차가 더 벌어진다. 민주노총은 투쟁일변도 강경노선에 대한 깊은 성찰이 필요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