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상황이 지난 2017년 3·4분기를 정점으로 완화정도가 축소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금융상황이 완화적 기조를 지속하고는 있지만 실물경제 부양 효과가 줄어들고 있다는 의미다.
한국은행은 9일 국회에 제출한 통화신용정책 보고서에서 "지난 2017년 4·4분기 이후에는 금융상황의 완화 정도가 다소 축소됐으나 완화기조는 지속 중"이라고 밝혔다.
보고서에서는 새롭게 보완된 금융상황지수(FCI)를 분석에 활용했다.
기존 한은은 50개의 금융변수에서 주성분을 추출하는 방식으로 FCI를 추정했다. 그러나 지수 개발 이후 금융여건이 크게 변화한 점, 기존 방식이 금융변수와 실물변수 간 연계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고 있는 점 등을 고려해 지수를 개편할 필요성이 제기됐다. 이에 따라 보고서는 통화정책 파급경로 상의 핵심변수인 단기금리, 환율, 주가, 주택가격, 기간스프레드, 리스크프리미엄 등 6개 변수에 기반해 FCI를 분석하는 방식을 선택했다.
분석결과 2017년 4·4분기 이후 금융상황의 완화정도가 다소 축소됐으나 완화기조는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은이 기준금리를 인상한 지난 2017년 11월과 시점적으로 일치한다.
한은의 통화정책이 경기조절 기능을 하고 있다는 의미인 것.
보고서는 "새로운 FCI가 총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해 보면 금융상황 완화시(금융상황지수 상승시) 총수요가 확장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 같은 효과는 금융상황 완화 이후 지난 2017년 3·4분기 경이 최대였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보고서는 새로운 FCI의 안정성도 높은 것으로 평가했다.
보고서는 "특정변수가 FCI를 주도하는 현상이 높지 않다"며 "금융상황지수 산출기간을 각각 달리 설정하여 추정해 본 결과 지수 간 격차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coddy@fnnews.com 예병정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