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 논의 시발점은 노무현 정부
MB가 백지화…朴정부때 재점화
동남권 신공항 건설 논의는 16년 전인 2003년 1월, 노무현 전 대통령 당선인 시절이 출발점이다.
당시 노 전 대통령이 참석한 부산·울산·경남지역 상공인 간담회에서 지역 상공인들은 "남부권 항공수요 증가에 대처하고, 국토균형 발전을 위해 부산 가덕도에 신공항이 필요하다"고 건의했고, 노 전 대통령이 "적당한 위치를 찾겠다"고 답하면서 공론화의 길이 열렸다. 그 후 2006년 국토연구원은 "김해공항은 포화상태에 이르러 새 공항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발표해 신공항 후보지 찾기를 위한 논의가 본궤도에 올랐다.
당시 정부의 신공항 공론화로 지역 간 유치전도 불이 옮겨붙었다. TK(대구·경북), PK(부산·경남)가 각각 유치전으로 맞붙고 정치권이 가세하면서 국책사업을 둘러싼 갈등은 이후 정권마다 이어졌다.
이명박 전 대통령의 대표적 국책사업 공약은 4대강이었지만 동남권 신공항도 공약의 하나였다. 이 전 대통령은 당선 뒤인 2008년 9월 30대 광역 선도프로젝트 가운데 동남권 신공항을 포함했고 논의에 속도가 붙었다. 국토연구원은 부산 가덕도와 경남 밀양을 최종 후보로 압축했지만 이명박정부 시절 실세들도 신공항 입지 선정 문제로 지역 간 총성이 오가는 등 내전으로 불길이 번졌다. 결국 이 전 대통령이 2011년 3월 30일 신공항 건설계획 백지화를 선언하며 갈등은 멈추는 듯했다. 그러나 박근혜정부 때에도 논란은 재연됐다. 박 전 대통령이 대선 공약에 지역균형발전 8대 핵심정책 중 하나로 동남권 신공항 건설을 넣으면서다.
영남권 신공항 유치경쟁이 다시 맞붙은 끝에 나온 결론은 김해공항을 확장하는 방식의 김해신공항 건설이었다.
문재인정부에서도 논란은 끊이지 않았다.
오거돈 부산시장이 지난해 6·13 지방선거를 앞두고 가덕도 신공항 건설을 공약으로 내건 뒤 당선되면서다. 지방선거 직후엔 동남권 신공항 논의가 최대 이슈로 떠오르며 한때 정국을 흔들었다.
다만 김해신공항 재검토 논의가 커지고 있는 만큼 문재인정부에서라도 출구 없이 16년간 갈등 양상이 이어진 신공항을 둘러싼 국책사업 선정의 문제를 놓고 솔로몬의 지혜를 발휘해야 한다는 요구도 크게 늘고 있다.
cerju@fnnews.com 심형준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