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

北美 '친서'로 대화의지 확인… 문 대통령 '촉진자' 힘 받나

한반도 '평화시계' 빨라지나
문 대통령, G20서 중·러와 회담..트럼프 방한 DMZ 시찰 가능성
北에 어떤 메시지 보낼지 주목..靑 "친서 교환, 긍정적 시그널"

【 서울·도쿄=김호연 강중모 기자·조은효 특파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친서 외교'에 교착상태였던 북·미 간 비핵화 협상에 온기가 돌기 시작했다. 주고받은 친서 내용이 공개되진 않았지만 두 정상 모두 '만족감'을 드러냈다는 점에서 북·미 협상에 긍정적인 내용이 포함된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의 '촉진자 역할'에도 중요한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으로서는 오는 28일 개막하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 중국, 러시아와의 정상회담 및 트럼프 대통령 방한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온기를 확산시켜 한반도의 '평화시계'를 더욱 빠르게 돌릴 수 있을지 주목된다.

■대화 재개 신호탄?

23일 북한 매체 등에 따르면 김정은 위원장은 트럼프 대통령의 친서를 보고 "흥미로운 내용을 심중히 생각해볼 것"이라고 발언했다. 앞서 김 위원장의 친서를 받은 트럼프 대통령과 내용을 공유한 문재인 대통령이 "아주 흥미로운 대목이 있다"고 발언했던 점을 감안한다면 의미심장한 대목이다.

비핵화 진전을 위한 북·미 대화의 길이 막힌 상황에서 '흥미로운 부분'이라면 북·미 대화를 재개해 비핵화 문제를 본질적으로 풀 수 있는 묘수나 대안, 단초 등이 실려 있었을 것이라는 해석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특히 하노이 회담 결렬 이후에도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은 개인적으로 '좋은 관계'가 유지되고 있다고 강조한 바 있어 '톱다운 방식'의 대화재개 언급 가능성이 오갔을 수도 있다는 분석이다.

미국은 지난 하노이 담판에서 북한 영변 핵시설에 더해 '플러스 알파' 폐기를 요구했다. 현재 비핵화 국면이 시간적으로나 힘의 균형상 미국에 유리하게 흘러가고 있기 때문에 북한이 다소 양보하고 미국도 이에 호응, 대북제재의 숨통을 터주는 방식의 대화가 오갔을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방북, "북한의 안보·개발 우려에 도움을 주겠다"고 발언한 이후 트럼프 대통령이 김 위원장에게 서신을 전한 사실이 밝혀진 것을 고려하면 중국과 급속도로 밀착하는 북한에 대한 미국의 '당근', 즉 대북 유화책이 편지에 담겼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文 '촉진자 역할' 중대 변수될 듯

우리 정부는 북·미 정상 간 '친서 외교'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고민정 청와대 대변인은 입장문을 통해 "북·미 대화의 모멘텀을 이어간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라고 밝혔다. 또 "정부는 친서 전달 사실을 한·미 소통을 통해 인지하고 있었다"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의 북·미 협상 '촉진자 역할'에 분수령이 될 '운명의 일주일'이 다가오는 가운데 '친서 외교'는 큰 변수가 될 전망이다.

문 대통령은 이달 말 트럼프 대통령과 한국에서 정상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문 대통령으로서는 정상회담을 통해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 정착을 위한 한·미 동맹 강화와 북·미 대화의 조속한 재개 필요성 등을 강조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의 비무장지대(DMZ) 시찰과 현장 연설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어 어느 때보다 양 정상의 만남에 관심이 쏠린다. 아시하신문 등 일본 언론은 이날 "한국 정부의 제안으로 한·미 양국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방한 시 DMZ 시찰과 현장 연설을 최종 조율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DMZ행이 성사된다면 북·미 대화 재개를 촉진할 연설이 이뤄지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나온다.

문 대통령은 한·미 정상회담에 앞서서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정상회담을 갖고 한반도 문제 등에 대해 논의한다. 시 주석과 푸틴 대통령이 최근 잇따라 김정은 위원장과 정상회담을 가졌던 만큼, 북한의 의중 파악 및 북·미 대화와 남북정상회담 등의 조속한 재개를 위한 지원을 당부할 것으로 보인다.

fnkhy@fnnews.com 김호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