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

부울경 "이착륙때 새와 충돌 위험"… 안전성 여전한 물음표 [김해신공항 건설 논란 확산 Ⅱ]

수요예측 등 입지 적정성 놓고 검증단-국토부 입장차 팽팽
총리실 조정 나서면서 새 판도

부울경 "이착륙때 새와 충돌 위험"… 안전성 여전한 물음표 [김해신공항 건설 논란 확산 Ⅱ]
김해신공항 적정성을 놓고 부산·울산·경남과 국토교통부의 입장차가 팽팽한 가운데 국무총리실이 조정에 나서면서 새로운 판도가 예상된다. 논란이 되는 여러 항목 중 안전 부문과 항공수요는 주요 쟁점 요소들로 꼽힌다.

안전 부문에서도 주변 산과의 충돌 가능성을 비롯해 주변 조류 서식지에 따른 새들과의 충돌, '버드 스트라이크' 우려를 놓고 국토부와 부·울·경 검증단이 대립각을 세우고 있다. 항공수요 예측의 경우, 국토부는 기존 수요 대비 1000만명 이상 줄어든 약 2700만명 정도의 신공항 수요예측으로 공항 규모를 줄였고, 부·울·경 검증단은 기존 3800만명 정도의 수요예측치는 유지될 것이라 반박하고 있다.

국토부의 신공항 수요예측 축소는 결과적으로 김해신공항을 넘어 동남권 관문공항 자체를 지방거점 공항으로 위축시켜버릴 수 있다는 우려가 팽배해지고 있다.

■안전성 논란도 화두

26일 국토부와 부·울·경 검증단에 따르면 김해신공항의 안전성은 늘 도마 위에 올라있다. 활주로에서 새가 날다 항공기에 충돌하거나 엔진에 들어가는 '버드 스트라이크'만 해도 국토부와 검증단의 의견이 충돌하고 있다. 신설 활주로 끝단인 서낙동강은 겨울철새의 주요 서식지이자 이동경로에 해당해 공항 운영 시 조류충돌 위험성으로 신설 활주로 입지가 부적절하다는 게 검증단의 지적이다.

국토부가 제시한 전략환경영향평가서에서도 갑작스럽게 무리로 철새들이 이동할 수 있는 지역임을 인정했다. 조류충돌 위험을 최소화하는 대책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시했다. 신설 활주로 건설로 약 2㎞ 구간이 매립되는 평강천의 경우, 겨울철새의 주요 서식지 및 이동경로다.

착륙할 때 주변 산과의 항공기 충돌위험도 주요 변수다. 국토부는 민간 공항 비행절차 수립 기준을 적용하면 중간 및 최종접근 구간에 저촉되는 장애물이 없다고 주장했다. 반면 검증단은 미국 연방항공사무국(FAA) 기준을 적용, 경운산 남쪽으로 장애물 저촉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했다고 강조했다.

모든 장애물을 검토해야 하지만 근접한 일부 장애물만 검토하고 승학산, 노적봉, 금정산, 상계봉 등의 장애물은 전혀 검토되지 않았다는 게 검증단의 반박이다.

■항공수요 축소 논란

항공수요 예측을 놓고 양측의 의견이 확연하게 엇갈린다.

국토부는 2016년 진행한 사전타당성 조사에선 김해신공항 수요가 3762만명 정도(2046년 기준)로 추산했으나, 2017년 예비타당성 조사에서 1000만명 가까이 줄인 2764만명으로 분석했다.

2018년 기본계획에선 이보다도 줄어든 2701만명으로 추산하면서 수요예측치를 지속적으로 줄였다. 김해신공항 연평균 증가율이 1%대 초반에 그칠 것이란 분석에 기초한 것이다.

이에 검증단은 정면반박했다. 국토부의 수요예측이 중장거리노선 취항을 전제한 것이나, 관문공항 기능의 신공항 개발에 따른 전환을 비롯해 유발수요를 반영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특히 김해공항 수요예측결과에 적용된 자료 중 2018년 기준 운항실적보다 20~28% 적은 수치가 수요예측에 반영돼 현실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검증단은 1인당 비행기 이용편수를 비롯해 국내 저비용항공사(LCC) 급증 등 최근의 항공산업 성장세를 반영하지 않은 것은 물론, 남북변화에 따른 미래의 수요 증가, 엑스포 유치 시 늘어날 수요 등을 전혀 반영하지 않았다고 반박했다.

부산시 관계자는 국토부의 수요예측 축소에 대해 "이대로라면 인천국제공항으로 몰아주는 인천공항 일극체제가 강화될 수 있다"며 "수요를 줄일 경우 공항시설 등도 줄여서 짓게 되면서 관문공항이 아닌 지방거점 공항으로 전락하게 된다"고 말했다.

hjkim01@fnnews.com 김학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