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

지난달 北목선 '반면교사' 삼은 軍, 이번엔 '전광석화' 대처

지난달 北목선 '반면교사' 삼은 軍, 이번엔 '전광석화' 대처
지난 27일 동해 북방한계선(NLL)을 넘어 우리 군에 단속된 북한 소형 목선은 북한군의 부업선인 것으로 파악됐다고 28일 합동참모본부가 밝혔다. 이 소형목선에는 선원 3명이 탑승했다. (합참 제공)2019.7.28/뉴스1


지난달 北목선 '반면교사' 삼은 軍, 이번엔 '전광석화' 대처
지난 27일 동해 북방한계선(NLL)을 넘어 우리 군에 단속된 북한 소형 목선은 북한군의 부업선인 것으로 파악됐다고 28일 합동참모본부가 밝혔다. (합참 제공)2019.7.28/뉴스1

(서울=뉴스1) 문대현 기자 = 지난 27일 밤 북한 소형 목선이 동해 북방한계선(NLL)을 넘어온 이른바 '심야 월선' 사건에 대해 군이 전광석화와 같은 대응 속도를 보였다.

지난달 북한 선원 4명이 탄 소형 목선이 NLL을 지나 강원 삼척항에 도달해 경계 실패 논란을 겪었던 군이 이를 반면교사 삼아 발빠르게 대처했다는 평가다.

합동참모본부의 28일 발표에 따르면 군은 27일 오후 10시15분쯤 육군 22사단 해안레이더에서 동해 NLL 북쪽에 정지중인 미상선박을 포착했고, 해군에서도 고성능 영상감시체계와 해상 감시레이더를 통해 오후 10시18분쯤 동일한 미상선박을 포착했다.

이어 해군은 오후 10시39분쯤 미상 선박이 NLL 북방에서 남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인근에서 경계작전 중인 해군 초계함과 정박 중이던 고속정 및 특전 고속단정(RIB)을 현장에 출동시켰다.

북한의 미상 선박이 NLL을 넘은 시각은 오후 11시21분쯤. 이후 군은 바로 작전을 시작했다. 이에 해군 고속정 2척은 오후 11시41분에 현장에 도착했고, 특전 고속단정은 자정을 넘겨 이날 0시10분쯤 현장에 도착했다. 해군이 목선을 처음 접촉한 위치는 NLL 남방 6.3㎞로 연안에서는 17.6㎞ 정도 떨어져 있는 곳이었다.

28일 오전 0시18분쯤에는 특전 요원이 북한 목선에 승선해 무장 여부와 대공혐의점 등을 확인했다.

우리 군은 북한 목선이 NLL을 넘은 이후 불과 57분 만에 목선의 진로를 차단하고 승선해 확인까지 마치면서 북한 목선의 지난 6월 삼척항 입항 사건 때와는 다른 모습을 보여줬다.

삼척항 입항 때는 북한 어선이 동해상으로 130㎞를 이동해 삼척항 내항까지 아무런 제지 없이 진입했었다. 북한 어선은 동해상으로 130㎞를 이동해 삼척항 내항까지 진입했다.

어선의 이동경로와 관련된 GPS 기록은 인근 소초에서 운영하는 지능형영상감시장비(IVS)와 해경 CCTV 1대, 해수청 CCTV 2대 중 1대, 삼척수협 CCTV 16대 중 1대의 영상에 촬영됐다. 그러나 운용요원들은 당시 북한에서 온 어선임을 제대로 식별하지도 못했다.

또한 북한 어선이 엔진을 끄고 대기하던 당시에는 감시요원들이 레이더를 통해 해당 선박을 미세하게 포착했지만 표적이 기동하지 않아 이를 파도로 인한 반사파로 인식했다고 관계 당국이 전했지만 국민들은 해당 부대들의 경계 부실을 지적했다.

이 때문에 해당 사건은 해상판 '노크 귀순'으로 명명되며 군은 경계실패의 질타를 받았고 이후 국방부 합동조사를 거쳐 관련자들이 징계를 받았다.

또한 군은 후속조치로 NLL 일대 및 연안에 대한 영상 촬영과 전송이 가능한 헬기 형태의 캠콥터 S-100을 우선 투입하고, 육군 군단급에 배치된 '송골매' 등 다른 UAV(무인항공기)의 활용 가능성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아울러 열상감시장비(TOD)-3형 등을 해안경계용으로 전환하는 등 육군의 해안경계 시스템도 강화하기로 했다.
또 레이더 식별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간부 및 운용요원을 보강하고, 해안 영상감시장비 감시구역의 운용시간을 재조정하기로 했다.

군은 또 해상과 해안의 통합방위 차원에서 각 군과 해경·경찰 상호간 상황전파 및 정보공유 조항을 신설하는 통합방위지침(제13조)도 개정하기로 했다.

이 때문인지 군 당국이 이번 북한 목선 월선에 대해선 발빠른 대처를 보여주면서 앞선 사례와 달라졌다는 평가가 평가가 군 안팎에서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