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뉴시스
【베이징 서울=조창원 특파원 송경재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일(현지시간) 트위터를 통해 중국산 제품 3000억달러에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며 초강수를 두면서 9월 미국 워싱턴에서 열리는 미중 고위급 무역협상도 기로에 섰다. 이번 트럼프 대통령의 트윗트 발언을 통해 신속한 포괄적 타결을 원하는 미국의 입장과 속도조절을 통해 실리를 추구하는 중국의 이익이 충돌하는 양상으로 치닫게 됐다. 반면 중국은 장기 결사항전 의지를 굽히지 않고 있어 뾰족한 출구전략을 찾지 못할 경우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이 다시 고조될 조짐이다.
■트럼프,中태도 불만…관세폭탄 투하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은 6월말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만나 무역협상을 재개키로 합의하면서 사실상 휴전을 선언했다. 이어 지난달 30~31일 중국 상하이에서 고위급 협상이 열어 소기의 성과는 없었으나 9월 재협상에 합의하면서 분위기는 좋게 마무리됐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이 협상 직후 중국을 향해 3000억 달러 규모에 대한 추가 관세부과라는 직격탄을 날리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이는 중국의 협상 태도가 예전과 확 달라진 점에 대해 경고를 날린 것으로 해석된다.
중국은 최근 고위급 무역협상에서 합리적으로 교환 가능한 거래를 하자는 스몰딜을 비롯해 양측의 이익이 부합하는 선에서 협상을 이어가자면서 사실상 신중론 노선을 보여왔다. 아울러 중국 내부에는 무역전쟁 초반 수세에 몰렸던 시점과 달리 최근엔 경기부양책과 소비진작책 등으로 관세 공세를 만회할 수 있다는 기류가 감지된다. 이와 관련, 미국 경제지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중국은 무역협상을 장기로 끌고 가야 더욱 유리한 조건에서 무역협상을 타결할 수 있다고 결론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반면, 트럼프 대통령은 미중 무역전쟁의 핵심 의제들을 모두 테이블에 올려놓고 협상을 벌어야 한다는 포괄적 협상을 고수하고 있다.
아울러 중국의 시간끌기 전략이 내년 대선을 앞둔 트럼프 대통령 입장에선 불리하다. 무역전쟁이 장기화되면 미국의 농부들과 소비자들의 불만이 높아질 수밖에 없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 재선에 결정적인 걸림돌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트럼프 대통령은 되도록 빨리 미중 무역분쟁을 일단락 짓고 재선에 '올인'해야 하는 이유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31일 트위터를 통해 "내년 미국 대통령 선거가 끝날 때까지 무역 협상 타결을 늦춘다면 중국은 더 큰 손해를 볼 것"이라며 중국의 '시간 끌기' 전략을 지적하고 조기 협상 타결을 압박한 바 있다.
■8월 협상결렬시 장기전 불가피
결국 9월 미중 고위급 무역협상에 앞서 이달 열리는 양국 실무협상 과정에서 치열한 샅바싸움이 예상된다.
8월 협상이 난항을 겪을 경우 미국이 각종 보복카드를 구사할 전망이다.
우선 다음 달부터 3000억달러 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대한 10% 관세 부과 조치가 예고돼 있다. 이어서 9월 고위급 협상마저 무산될 경우 3000억 달러에 부과했던 관세율을 25%로 올리는 방안이 거론된다. 이와 관련 트럼프 대통령은 "나는 더 많이 할 수도 있고 더 적게 할 수도 있다"고 압박했다.
중국을 개발도상국 지위에서 박탈하는 압박카드도 예고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달 26일 중국을 겨냥해 세계무역기구(WTO) 개발도상국 지위를 박탈하라고 지시한 바 있다.
환율전쟁으로 비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1일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산 제품 3000억달러에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시사한 것은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연준) 의장을 압박하기 위한 것이라고 투자정보업체 유로 퍼시픽 캐피털 최고경영자(CEO) 피터 시프가 주장했다.
시프는 폭스비즈니스에 출연해 이번 관세를 "중국이 아닌 파월 의장에서 보내는 메시지로 생각한다"며 연준이 계속 금리를 인하하도록 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했다. 미 연준은 기준금리를 0.25% 포인트 인하한다고 발표했으나 트럼프 대통령이 추가 금리 인하를 압박했다는 설명이다.
중국 글로벌타임스도 미국 연준이 기준금리를 0.25% 포인트 내린 뒤에도 트럼프 대통령이 추가 금리 인하를 원한다면서, "트럼프가 중국을 상대로 곧 환율전쟁을 벌일 태세지만 중국은 이에 충분히 준비돼 있다"고 지적했다.
jjack3@fnnews.com 조창원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