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9월 이후 15개월만에 북미대화 해법 논의
판문점서 北美 접촉 가능성.. 北, 동창리 발사장서 또 시험
스티븐 비건 미국 국무부 대북특별대표(가운데)가 15일 오후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을 통해 입국하고 있다. 사진=서동일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16일 스티븐 비건 미국 대북특별대표를 직접 만나 '교착상태'인 북·미 대화 해법 모색에 나선다. 북한 비핵화 협상이 좀처럼 돌파구를 찾지 못하고, 오히려 양국 간 긴장만 고조되는 상황인 만큼 실마리를 찾는 계기가 될지 주목된다. 비건 대표의 판문점 방문 가능성도 제기되는 만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대북 메시지' 공유 여부도 관심이다.
■북·미 교착 변곡점 맞나
청와대는 15일 출입기자단에 보낸 공지 메시지를 통해 "문 대통령이 16일 오전 비건 대표를 접견한다"고 밝혔다. 비건 대표는 이날 오후 방한했으며 문 대통령 접견은 지난해 9월 이후 처음이다. 비건 대표는 최근 차관보에서 부장관으로 '급'이 격상됐지만 그동안 청와대 방문시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이나 김현종 국가안보실 2차장 등을 접견했다. 그만큼 이번 문 대통령과의 만남은 이례적이라는 평가이며, 최근 북·미 관계가 심상치 않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특히 비건 대표의 청와대 방문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문 대통령의 정상통화 후 9일 만에 성사됐다.
앞서 양 정상은 북한이 동창리 발사장에서 '중대한 시험'을 한 지난 7일 트럼프 대통령의 요청으로 30분 동안 통화를 하고 한반도 평화프로세스를 진전시켜 나가기 위한 방안을 심도 있게 협의했다. 북한은 동창리 발사장에서 위성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를 시험해왔으며 이날도 ICBM 발사를 위한 엔진시험을 한 것으로 파악됐다.
당시 양 정상은 최근 한반도 상황이 엄중하다는 데 인식을 공유하고 북·미 간 비핵화 협상의 조기성과를 달성하기 위해서 대화 모멘텀이 계속 유지돼야 한다는 데 공감했다.
비건 대표가 2박3일간의 방한기간 중 판문점에서 북측과 접촉 가능성도 제기되는 만큼 트럼프 대통령의 '메시지'를 사전에 문 대통령과 공유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제기된다.
다만 비건 대표는 이날 인천국제공항에서 취재진의 북측 접촉 가능성 등 관련 질문에 별다른 답변 없이 공항을 빠져나갔다. 한국으로 출발전 미국 워싱턴에서도 북한 접촉 가능성에 대해 "지금은 할말이 없다"고 즉답을 피했다.
문 대통령이 오는 24일 중국 청두에서 열리는 한·중·일 정상회의 참석을 계기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정상회담이 추진되고 있는 만큼 이를 앞두고 한·미 간 의견조율이 이뤄질지도 관심이다. 문 대통령으로서는 북·미 간 '중재 역할'을 다시 부여받았지만 북한과의 직접적인 소통이 원활하지 않은 만큼 중국을 메신저로 해 북한을 협상의 장으로 끌어내려는 노력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北 추가도발 임박 '포착'
한·미 간 공조 움직임이 이처럼 분주해지는 데는 북한이 제시한 북·미 협상 시한인 연말을 앞두고 잇따른 '무력도발 징후'가 포착되는 것과 무관치 않아 보인다. 북한 국방과학원은 전날 "지난 13일 22시41분부터 48분까지 서해위성발사장에서 중대한 시험이 또다시 진행됐다"면서 "최근에 우리가 연이어 이룩하고 있는 국방과학연구성과들은 전략적 핵전쟁 억제력을 더한층 강화하는데 적용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중대 시험' 목적은 인공위성보다는 ICBM을 가리킨다는 것이 대체적 해석이다. 북한은 지난 7일에도 같은 곳에서 '대단히 중대한 시험을 했다'고 발표했으며 ICBM 엔진시험으로 알려졌다. 발표 주체가 국방과학원이라는 점에서도 ICBM 시험에 무게가 실린다.
인공위성일 경우 북한의 우주개발기구인 국가우주개발국이 전면에 나섰을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시험발사와 관련한 수상한 움직임도 포착됐다.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빅터 차 한국석좌와 조지프 버뮤데즈 연구원은 지난 14일(현지시간) 북한 전문 사이트 '분단을 넘어'에 공개한 보고서에서 "북한 서해안의 남포 해군 조선소에 위치한 수중 시험대 바지선에서 경미한 활동이 재개됐다"면서 "언제라도 SLBM 시험발사를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fnkhy@fnnews.com 김호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