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조은효 특파원】 후쿠시마 제1원전의 방사능 오염수 처리 방법이 '해양방출', '수증기방출', 이 두 가지를 '병행하는 안' 등 3가지로 좁혀졌다. 어떤 경우로든 방사능 성분을 밖으로 유출한다는 것으로, 논란이 예상된다.
일본 경제산업성은 23일 오염수처리대책위원회 전문가 소위원회가 오염수 처분 방안으로 제시한 이들 3가지 안을 공개했다.
전문가 소위(2016년 11월부터 가동)는 탱크에 보관된 오염수의 방출을 전제로 △물로 희석해 바다로 내보내는 해양 방출 △수증기 방출, △두 가지를 병행하는 제3안을 함께 제시했다. 그간 지층주입, 지하매설, 전기분해 수소방출 방안도 검토돼 왔으나, 결론적으로는 공기 중이나 바다로 흘려보내는 방안으로 가닥이 잡힌 것이다. 이중 해양방출은 해류 타고 주변국 바다로 유입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소위는 그러나 초안 보고서에서 해양방출은 일본 내 원전에서 폭넓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국가가 정한 기준치 이하로 희석해 바다에 흘리는 방법이라고 했다. 현재 해양방출에 대한 일본 내 여론은 사실 '침묵'에 가깝다. 환경단체나 후쿠마현과 그 주변 지역의 어민들 정도가 반대 목소리를 내놓는 정도다.
일본 정부는 오염수에 대해 다핵종제거설비(ALPS)로 불리는 정화장치를 이용해 트리튬(삼중수소)을 제외한 방사성 물질(62종)의 대부분을처리했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인체에 치명적인 세슘-137, 스트론튬을 포함한 방사성물질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은 채 남아 있어 환경단체들은 방류해선 안 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소위는 방출 시기와 기간에 대해서는 "일본 정부가 책임지고 결정해야 한다"고만 언급했다.
후쿠시마 원전 부지에는 현재 1000개 가까운 대형 탱크에 약 110만t의 오염수(처리수)가 저장돼 있으며, 하루 평균 약 170t씩 매일 증가하고 있다. 도쿄전력 측은 현재 배출 추이로 추산할 경우 2022년 말이 되면 더는 보관할 수 없게 된다며, 오염수 처리 대책을 서둘러 강구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ehcho@fnnews.com 조은효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